경제·금융 경제동향

LG전자, 차량용 반도체 내재화 추진…개발 프로세스 전반 ‘ISO 인증’

獨 전문기관 TUV라인란드서

부품개발능력 최고 수준 인정

김진경(왼쪽) LG전자 SIC센터장 상무가 프랭크 주트너 TUV라인란드코리아 대표로부터 ‘ISO 26262’ 인증서를 받고 있다. 사진 제공=LG전자김진경(왼쪽) LG전자 SIC센터장 상무가 프랭크 주트너 TUV라인란드코리아 대표로부터 ‘ISO 26262’ 인증서를 받고 있다. 사진 제공=LG전자




LG전자가 차량용 반도체 설계와 구현·검증 등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기술을 확보했다. LG전자는 향후 사업성을 검토해 차량용 반도체 사업 내재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LG전자는 최근 독일 시험·인증 전문 기관 ‘TUV라인란드’로부터 차량용 반도체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ISO 26262’ 인증을 받았다고 5일 밝혔다. 이 인증은 차량에 탑재되는 전기·전자장치의 시스템 오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정된 국제표준화기구(ISO)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 표준 규격이다.

LG전자는 전자제어장치(ECU)와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 전력관리반도체(PMIC) 등 차량용 반도체 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특히 이번 인증에서 자동차 기능 안전성 가운데 최고 수준인 ‘자동차안전무결성수준(ASIL)’ D등급의 부품 개발 능력을 인정받았다고 LG전자는 소개했다.



ASIL은 사고의 심각도와 발생 빈도, 제어 가능성 등에 따라 최저 A등급에서 최고 D등급까지 4단계로 분류되는데 D등급은 1억 시간 동안 연속 사용했을 때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고장을 1회 이하로 관리하는 가장 엄격한 등급이다.

관련기사



LG전자의 차량용 반도체 사업은 선행 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최고기술책임자(CTO) 부문 내 SIC센터 주도로 추진되고 있다.

미래 성장 동력으로 파워트레인·인포테인먼트 등 자동차 부품 사업을 키우고 있는 LG전자는 차량용 반도체 개발 역량까지 확보해 전장 사업 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차량용 반도체 사업 내재화를 검토 중”이라며 “실제 내재화가 가능할지 선행적으로 기술 개발 역량을 확보하고 사업성을 검토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앞서 LG전자는 TUV라인란드로부터 첨단주행보조시스템(ADAS) 카메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자율주행차 부품’과 ‘차량 미디어 부품’의 개발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인증받은 바 있다.

프랭크 주트너 TUV라인란드코리아 대표는 “LG전자가 차량용 반도체 개발 프로세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기능 안전성까지 확보해 앞으로 미래 자동차 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LG전자 SIC센터장인 김진경 상무는 “자동차의 핵심 부품인 차량용 반도체의 기능 안전성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개발할 수 있는 체계와 역량을 지속해서 확보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