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계약 취소 알고도 쉬쉬?…부산시 오락가락 해명 논란

■상생일자리사업 부실 의혹 확산

산자부 "2020년 관련내용 통보"

市 "지난해 5월 계약 무산 파악"

부산시 강서구 국제산업물류도시에 조성 중인 ‘부산형 상생 일자리’ 미래차부품단지 조감도. 사진 제공=부산시부산시 강서구 국제산업물류도시에 조성 중인 ‘부산형 상생 일자리’ 미래차부품단지 조감도. 사진 제공=부산시




‘부산형 상생 일자리 사업’의 핵심인 전기차부품업체 코렌스EM의 글로벌 공급계약이 전격 취소된 가운데 계약 취소 시점을 놓고 부산시가 납득할 수 없는 해명을 내놓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주무부처인 산자부는 계약이 취소된 2020년 관련 내용을 통보받았다는 입장인 반면 실무를 담당하는 지자체인 부산시는 사업자 선정 3개월 뒤이자 계약이 취소된 지 1년 후에 내용을 파악했다는 설명을 내놓고 있어서다.



10일 부산시와 지역 상공계에 따르면 부산형 상생 일자리 사업의 핵심 기업인 코렌스EM은 2020년 5월 BMW로부터 400만대 물량의 전기차 동력부품 계약을 취소한다는 통보를 받았다. 코렌스EM의 한 관계자는 “그해 3월부터 BMW 측으로부터 물량 축소 이야기가 나오더니 같은 해 5월에 결국 공급 계약이 무산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산업통상자원부도 같은 해 코렌스EM이 BMW와 체결한 400만대 전기차 동력부품 공급 계약이 파기된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코렌스EM은 계약이 파기된 BMW 공급 물량을 대체하기 위해 미국 A사와 35만대, 중국 B사와 86만대 규모의 전기차 동력부품 공급계약을 추가로 체결했다며 관련 서류를 제출해 부산형 상생 일자리 사업자로 선정됐다.

하지만 부산시는 코렌스EM이 사업자로 선정된 지난해 2월 이후인 5월에야 BMW 공급계약이 취소됐다는 것을 파악했다는 입장이다. 부산시의 해명이 사실이라면 부산형 일자리 사업이 부실하게 추진됐다는 것이고 부산시가 미리 알고 있었다면 무리하게 사업을 강행했다는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다. 부산시가 그간 코렌스EM이 BMW와 체결한 400만대 전기차 동력부품 계약을 바탕으로 20여개 협력기업이 미래차부품단지를 조성하면 연간 3조 원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홍보해왔기 때문이다.

지역 상공계에서는 부산시가 코렌스EM의 BMW 계약 무산을 알고도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부산형 일자리 사업을 국정과제로 추진한 상황에서 사업을 추진할 명분을 필요했기에 무리수를 던졌다는 해석도 나온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5월 코렌스EM의 BMW 공급 계약이 최종적으로 무산됐다는 것을 알았고 그로부터 두 달 뒤인 7월 산자부에 사업 변경을 신청해 별다른 문제없이 승인받았다”며 “향후 글로벌 기업과 지속적으로 공급 계약을 추진해 부산형 상생 일자리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