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안전자산 서울땅으로"…신도시 토지보상금 몰린다

  올 1분기 서울 토지거래

  외지인이 33.1% 사들여

  송파구·영등포 관악 順

서울 아파트단지 전경 / 연합뉴스서울 아파트단지 전경 / 연합뉴스




올해 1분기 서울에서 거래된 토지의 3분의 1 이상을 ‘외지인’들이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월별 매입자 거주지별 토지 매매 현황’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에서 발생한 토지 매매거래는 총 2만 5405건이었다. 이 중 33.1%에 달하는 8408건이 외지인이 매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기에는 순수 토지 뿐 아니라 토지와 건축물이 일괄 거래된 경우도 함께 포함됐다.





이번 수치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9년 이래 분기 기준 가장 높다. 분기별 외지인 토지 매수 비중은 지난해 4분기 32.4%로 처음 30%를 넘어선 데 이어 올해 1분기 33%대를 돌파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송파구의 외지인 매입 비중이 가장 높았다. 전체 매매거래(1565건)의 43.4%인 679건을 외지인이 사들였다. 이어 영등포구(41.3%), 관악구(40.3%), 용산구(40.1%), 강서구(39.1%) 등의 순으로 외지인 매입 비중이 높았다.

관련기사



주택에 대한 외지인 매수세도 강해지는 추세다. 올해 1분기 서울 주택의 외지인 매수 비중은 30.3%로 집계됐는데, 역시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6년 이래 1분기 기준으로 최고치다.

토지보상·부동산개발정보 플랫폼 '지존'의 신태수 대표는 "외지인의 서울 토지 매입이 늘어나는 것은 3기 신도시를 비롯한 수도권의 대규모 토지 보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며 "토지보상금으로 안전자산이라 할 수 있는 서울의 토지·건물을 사들이면서 시장을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올해 전국적으로 풀리는 토지보상금은 32조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최근 인천계양 신도시가 3기 신도시 중 최초로 토지보상을 완료했다. 토지 보상 시작이 늦은 고양창릉을 제외하면 하남교산(93%), 부천대장(68%), 남양주왕숙(59%), 남양주왕숙2지구(57%) 등도 토지 보상 진행률이 50%를 넘어섰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