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식약처 제품화전략지원단 시작부터 삐걱?

정권 바뀐후 '작은 정부' 기조에

인력·예산 지원 차일피일 미뤄져

기대 걸었던 제약·바이오 실망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5일 오전 경기도 성남 분당구 SK바이오사이언스를 방문해 연구실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제공=당선인 대변인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5일 오전 경기도 성남 분당구 SK바이오사이언스를 방문해 연구실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제공=당선인 대변인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바이오 산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제품화전략지원단(지원단)이 출범했지만 정식 조직으로 자리잡지 못해 목표 달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김강립 전임 식약처장의 역점 사업인데다, 윤석열 정부가 시장 개입을 최소화하는 ‘작은 정부’를 표방하면서 인력과 예산 지원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규제기관인 식약처의 지원 사업에 큰 기대를 걸었던 제약·바이오 업계는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8일 식약처 관계자는 “제품화전략지원단을 구성하기 위해 초기 인력 증원을 요청했지만 언제 될 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현재 서경원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장이 지원단장도 겸하다 보니 조직 구성에 속도를 내기도 어렵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현재 같은 상황이라면 지원단이 올해 안에 정식 조직으로 자리잡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전 정부의 마지막 식약처장이었던 김 처장은 새 정부 출범 직전인 지난 4월 25일 임시 조직으로 지원단을 출범시켰다. 제품화지원팀·혁신제품심사팀·임상심사팀 등 총 세 팀으로 구성됐으며, 제약·바이오 기업이 임상 심사 과정에서 겪는 시행 착오를 줄여주고 제품화까지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약·바이오 업계 규제기관인 식약처가 지원사업에 나선다는 점에서 업계의 기대가 컸다.

하지만 새 정부 출범 이후 분위기가 확 바뀌었다. 공식 조직 승인이 미뤄지면서 인력과 예산 배정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공식 조직으로 승인되지 않으면 인력과 예산을 배정받지 못한다”며 “현재는 식약처 예산을 활용해 지원사업을 하다 보니 기존 업무와도 차별화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제품화전략지원단의 업무가 산업 성장에 꼭 필요한만큼 새 정부에서도 이어가길 바라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규제 기관인 식약처가 업계를 지원하는 조직을 만든 것 자체가 매우 긍정적"이라며 “정책의 색깔을 따지기 보다 실효성에 기반해 연속성있는 행정이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