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쉬쉬해왔는데…한미일, 8월초 北미사일 추적·탐지 훈련 공개

하와이서 실시…濠·加도 참가

미사일 경보 훈련도 협의 중

연합뉴스연합뉴스




한미일이 8월 초 인도태평양 지역의 주요 동맹·우방들과 연합해 탄도미사일 해상 탐지·추적 훈련을 실시한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급속히 고조되는 데 따른 대응 차원이다.



문홍식 국방부 부대변인 14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이번 환태평양훈련(RIMPAC·림팩)과 연계해 한미일 간 미사일 탐지·추적 훈련을 실시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훈련 명칭은 ‘퍼시픽드래건’이다. 해당 훈련은 현지 기상 악화를 비롯한 돌발 변수가 생기지 않는 이상 8월 1~14일 하와이에서 열릴 것으로 알려졌다. 이른바 파이브아이즈 멤버로 불리는 호주·캐나다도 훈련에 동참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퍼시픽드래건 훈련은 적의 미사일로 가장한 표적(모의탄)을 공중으로 발사한 뒤 미군의 위성 및 한미일 해군 이지스구축함 등으로 그 궤적을 탐지·추적해 요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해당 훈련은 당초 2년 주기 림팩을 계기로 개최됐고 그 경과 및 결과가 언론에 공개돼 왔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 출범 후인 2018년 및 2020년에는 해당 훈련의 진행 여부가 비공개됐다.

이번에는 한미일 미사일 경보 훈련도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앞서 3국 국방부 장관이 12일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대화)를 계기로 싱가포르에서 3자 회담을 열고 3국 간 미사일 경보 훈련 및 탄도미사일 탐지·추적 훈련을 시행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경보 훈련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식이나 미사일 모의탄을 발사하되 요격은 하지 않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에 대해 문 부대변인은 “(한미일이) 3국 간에 서로 협의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경보 훈련이 연내에 실시될 경우 하반기 중 2회 이상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한미일 미사일 경보 훈련이 처음 실시된 것은 2016년 5월이다. 2016년 첫 훈련 당시 북한 외무성 당국자는 ‘또 하나의 엄중한 군사적 도발 행위’라고 반발했다. 이후 한미일은 해당 훈련을 분기마다 열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지난 몇 년간 간헐적으로만 열렸고 실시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처럼 전임 정부가 쉬쉬했던 훈련의 추진 방침을 윤석열 정부가 공개한 것은 북한이 올해 들어 안보 불안을 지속적으로 조성하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올해 18차례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감행하고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7차 핵실험 준비를 사실상 마친 상태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