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민주, 당대표·최고위원 분리선출…선거인단 민심 25%로

[전준위, 전대 룰 의결]

선거인단 국민 여론조사 25%로

강성 기반 처럼회 등 약진 예상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이 6월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전국대의원대회 준비위원회 첫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권욱 기자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이 6월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전국대의원대회 준비위원회 첫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권욱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8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하기로 했다. 선거인단 비율 중 일반 국민 여론조사 비중도 25%로 늘렸다.

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는 4일 전체회의를 열어 전대 룰에 대한 의결을 마쳤다. 전준위는 전대 룰의 핵심 쟁점이었던 선거인단 비율을 대의원 30%, 권리당원 40%, 일반 국민 25%, 일반 당원 5%로 변경했다. 현행 룰보다 대의원 투표 비율을 15%포인트 줄이고 일반 국민 여론조사 비중을 그만큼 늘린 것이다.



지도 체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득표 순으로 함께 뽑는 순수지도체제가 아닌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안규백 전준위원장은 “전체 의원 워크숍과 당 안팎의 의견을 들었을 때 순수지도체제로의 변경은 무리가 있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다수 확인됐다”며 “야당일 때는 강력한 리더십과 역동성을 위해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했던 게 우리 당의 전통”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당 대표 경선 흥행을 위해 예비 경선 당선인 수도 조정했다. 후보자가 4인 이상일 경우 예비 경선 당선인을 3인, 9인 이상일 때는 8인으로 확정했다. 예비 경선 투표 시 당 대표는 1인 1표, 최고위원은 1인 2표를 적용한다. 득표율과 순위는 공개하지 않는다. 당초 컷오프(예비 경선) 인원을 5명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거론됐지만 “시간 제약 등 여러 가지 현실성을 고려해 (컷오프 인원을) 현행 3명으로 유지하기로 했다”고 민주당은 설명했다.

선거권의 경우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에 부여하는 현행 룰을 유지한다. 대선 과정에서 신규로 입당한 이른바 ‘개딸’들에 대한 선거권 부여가 논란이 되면서 당 일각에서는 권리 행사 시행일로부터 3개월 이전 입당으로 변경해달라는 요구가 나오기도 했다.

비상대책위원회는 전준위 안건 대부분을 의결하고 최고위원의 지역을 다양화하는 방안을 추가로 도입했다. 지도부가 수도권에 치우쳐 있다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권리당원 1인당 2표를 행사하는 최고위원 선거에서 1표는 자유롭게 선택하되 1표는 자신의 권역 내 출마한 최고위원에게 투표해야 한다. 권역은 수도권·영남권·충청강원권·호남제주권 등 4개로 나뉜다.

한편 일반 국민 여론의 반영 비율이 높아지면서 조직력이 약한 대신 강성 지지층을 기반으로 하는 처럼회 등이 약진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날 비대위에서 의결된 안건들은 6일 당무위원회에 상정된다.


박예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