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개미 피눈물인데 하락장이 절세 찬스…주식 증여 봇물

증여 시점 기준으로 증여세 매겨

향후 주가 올라도 추가 세금 없어

석달간 '증여' 공시 175건으로 쑥

오너家·임원 중심으로 증가추세

상승곡선에 "없던 일로" 번복도





코스피 지수가 지난해 고점 대비 약 30% 하락하는 등 조정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를 증여나 지분 확대의 기회로 삼는 오너가와 임원이 증가하고 있다. 증여 시점 전후의 주가를 기준으로 증여세를 매기기 때문에 주가 하락기에 증여를 하면 세금을 크게 아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주주 특수관계인들뿐만 아니라 자산가들 역시 주식 증여에 대한 문의가 크게 늘었다는 게 증권사 세금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10일 다트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3개월(4월 1일~7월 8일)동안 ‘증여’로 검색한 지분공시는 총 175건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155건)과 비교했을 때 20건 증가한 수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주주가 자녀나 배우자에게 증여하는 사례가 두드러진다. 지난 6월 대신증권(003540) 일가는 양홍석 대신증권 부회장의 두 딸인 양채유(10세), 양채린(7세)양과 조카인 홍승우(4세) 군에게 자금을 증여하고 이를 주식 매수에 활용했다. 이들은 증여 받은 돈으로 6월 17일~ 23일에 총 4억 1200만 원, 각 9000주의 주식을 장내매수했다. 취득 단가는 주당 1만4000원~1만5000원 선으로 전년 고점 2만1000원선 대비 30% 하락한 수준이다. 세무업계 관계자는 “현행법상 미성년자 자녀의 경우 10년에 한 번씩 2000만 원, 성년 자녀의 경우 5000만 원까지 증여세를 면제해주고 있다”며 “자산가들은 주가가 쌀 때 현금을 증여하고 이를 주식 매수에 활용하는 ‘똑똑한 증여법’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정학헌 신풍제지(002870) 회장이 친인척인 정민수 씨에게 26만 주(전체 지분 중 0.74%)를 증여했다. 이번 증여로 정민수 씨의 지분은 총 87만 5996주로 증가했다. 류진 풍산홀딩스 대표이사 회장는 지난 5월 배우자인 Helen Lho 씨와 자녀인 류성왜 씨에게 각 12만 6012주, 7만 9180주를 증여했다. 이 두 기업의 주가 역시 연초 대비 각 28%, 11% 하락했다.

관련기사



기업 승계 등의 목적으로 지분 증여가 이뤄진 사례도 있다. 지난달 현승훈 화승코퍼레이션(013520) 회장도 맏아들인 현지호 총괄 부회장에게 본인이 보유한 674만 8364주를 전량 무상증여했다. 이로써 현 부회장의 지분은 35.4%로 늘어나 화승코퍼레이션은 오너 3세에 대한 승계 절차를 거의 마무리한 것으로 보인다. 화승코퍼레이션은 올해 초 대비 주가가 25% 하락한 바 있다.

특히 주가 낙폭이 컸던 바이오 기업 주식 증여가 활발히 이뤄졌다. 지난 5월 박종수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비등기임원(실장)이 친인척에게 4000주를 증여했다. 의료기기 제조업체인 비올 이상훈 이사 역시 배우자에게 15만 주를 증여했다. 이 두 기업의 주가는 모두 올해 들어 각 37%, 11% 떨어졌다. 이외에도 연초 대비 주가가 각 23%, 17% 하락한 센코, 브이원텍 등의 제조업 기업에서도 배우자 및 자녀에게 증여가 이뤄졌다.

하락장에서 주식 증여는 절세에 효과적이다. 현행법상 증여세는 증여일 기준 전후 2개월씩, 총 4개월간의 평균 주가를 계산해 세금을 부과한다. 향후 주식 가격이 다시 올라도 차익에 대한 세금을 추가적으로 부과하지 않는 것 역시 장점이다.

최근 대형 증권사에도 증여 관련 문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증권사의 한 세금컨설팅 담당자는 “최근 약세장이 이어지며 증여 상담이 꽤 늘어났다”며 “대형 지분 증여 문의가 지난해 대비 2배가량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세무 관계자 역시 “현재 고객들에게 ‘이 정도면 괜찮다’며 역으로 증여를 제안하는 경우가 꽤 있다”고 말했다.

반면 주가가 올라 오히려 증여를 취소한 경우도 있다. 지난 4월 현대사료(016790)의 경우 앞서 결정한 435만 6753주에 대한 증여를 전부 취소한다고 밝혔다. 연초 대비 급등한 주가로 세금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대사료는 8일 연초 대비 무려 985.61% 상승한 3만 5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에 일각에서는 현대사료의 증여세만 최소 수백억 원이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씨젠(096530) 역시 바닥이라고 생각했던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자 2개월 만에 결정을 번복했다. 천경준 회장 부부는 지난 4월 자녀 3인에게 준 총 90만 주에 대한 증여를 취소했다. 충분히 하락했다고 생각했던 2월 주가(5만 원 선)가 4월 4만 원 선으로 더 떨어졌기 때문이다.


양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