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화시스템, KT와 항공·우주 양자암호통신 공동 개발 착수

항공·우주 분야 적용되는 양자암호통신 기술 개발 시작

김이한(왼쪽) KT융합기술원장과 김정호 한화시스템 지휘통제사업본부장이 최근 서울 KT융합기술원에서 항공·우주 분야 양자암호통신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있다. 사진제공=한화시스템김이한(왼쪽) KT융합기술원장과 김정호 한화시스템 지휘통제사업본부장이 최근 서울 KT융합기술원에서 항공·우주 분야 양자암호통신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있다. 사진제공=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272210)이 KT와 ‘항공·우주 분야 양자암호통신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인공위성 초정밀 지향·추적(PAT) 기술과 KT의 양자암호 기술을 접목해 레이저 통신 기반의 무선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양자암호통신은 에너지의 최소단위인 양자를 활용해 광자에 정보를 담아 데이터를 보호하는 차세대 통신기술이다. 제 3자가 접근하면 데이터 내용이 어그러져 양자컴퓨터에 의한 해킹·도청 등의 보안 위협에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안이 중요한 국방 분야에서도 미래 통신 기술로 각광받으며 연구개발을 시작하고 있다.

초정밀 지향·추적(PAT) 기술은 지구 저궤도상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통신위성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 위성 간 레이저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위성 간 링크(ISL)의 핵심 기술이다. 저궤도 통신위성에 ISL을 적용하면 더 빠른 속도로 고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어 차세대 저궤도 통신위성의 필수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김정호 한화시스템 지휘통제사업본부장은 “한화시스템은 이번 협약을 통해 확보하게 될 무선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방산은 물론 위성·UAM 등 보안과 안전이 생명인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