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베 피격에 안중근 의사 소환 WSJ…서경덕 "역사의식 부재"

월스트리트 저널 7월8일자 기사. 이토 히로부미 동상을 배치한 뒤 아베 전 총리의 피격에 대해 기사를 썼다. 월스트리트저널 캡처월스트리트 저널 7월8일자 기사. 이토 히로부미 동상을 배치한 뒤 아베 전 총리의 피격에 대해 기사를 썼다. 월스트리트저널 캡처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피격과 관련해 이토 히로부미까지 언급한 것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역사의식 부재"라고 비판했다.

14일 서 교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WSJ이 지난 8일 보도한 '아베 신조 총격 사건이 일본의 전쟁 전 정치 폭력 역사를 상기시킨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소개했다.



WSJ은 "일본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가장 오랜 기간 재임한 총리 중 한 명인 이토 히로부미는 1909년 중국 북동부에 있는 기차역에서 살해됐고 암살자는 일본의 한반도 식민지화에 반대했던 한국인 민족주의자"라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이어 "1921년 11월 당시 총리인 하라 다카시가 정부 정책에 반대한 도쿄역 철도 개찰원에게 흉기에 찔려 살해됐다. 1936년 2월 쿠데타를 시도한 음모자들이 가장 영향력 있었던 다카하시 고레키요와 다른 사람들을 암살했다"고 썼다.

서 교수는 "이번 기사에서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예시로 다룬 것은 WSJ의 명백한 역사 인식의 부재라고 판단된다"며 "다른 사건들은 일본 내부의 정치적 문제로 인한 폭력 사건이지만,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은 '독립운동'의 일환"이라고 강조했다.

또 “전 세계 독자들이 이번 기사로 인해 역사적인 오해를 할 수 있으므로 WSJ에 기사 수정 요청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형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