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만파식적] INSTC

0115A35 만파0115A35 만파





지난해 6월 영국 콘월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더 나은 재건(Build Back Better World·B3W)’ 구축이 합의되자 인도는 환영했다.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에 맞서 저소득국 인프라 개발을 돕겠다는 B3W 구상이 인도가 열망하는 국제남북운송로(International North-South Transport Corridor·INSTC) 건설의 자금줄이 될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INSTC는 러시아와 이란·인도를 연결하는 7200㎞ 길이의 육로와 해로가 북에서 남으로 이어진 복합 운송로다. 러시아의 제안으로 러시아·인도·이란이 2000년 INSTC 구상 협정을 맺고 2002년에 비준 절차를 마쳤다. 이 운송로는 수에즈운하를 관통하는 기존 경로에 비해 거리는 40% 짧고 비용은 30% 저렴해 시간을 절반가량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관련기사



2013년 중국의 일대일로 선언 이후 인도는 중국의 공세로 고립이 더 심해지기 전에 인도·페르시아만·카스피해를 잇는 INSTC를 구축해야 활로를 열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러시아·이란에 대한 서방의 적대감이 장애물이 되고 있다. 인도는 일본을 끌어들이려다 실패했고 유럽계 자본에 자금 지원을 요청했으나 답을 받지 못했다.

지지부진했던 INSTC 구상에 다시 시동이 걸리고 있다. 며칠 전 인도로 향하는 러시아 화물이 INSTC를 통해 이란에 도착했다는 보도가 인도·이란 현지를 뜨겁게 달궜다. 이에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카스피해 연안국 정상회의에서 INSTC를 언급했고 이란은 INSTC 노선을 이용해 러시아에서 인도로 상품을 운송한다고 발표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란 핵 협상 교착, 인도의 중국 견제 등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면서 INSTC가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구상이 실현된다면 2030년 유라시아·남아시아·걸프지역 간 컨테이너 총교역량의 75%를 차지하게 돼 물류 지정학 판도가 달라진다. 국익에 따른 이합집산으로 물류 ‘빅게임’이 벌어지고 있다. 중국과 북한의 위협에 직면한 우리도 가치 중심의 국제 연대 참여와 정교한 외교 전략 등을 통해 국익을 극대화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

문성진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