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롯데케미칼 ‘친환경 페트’ 4200톤 규모 시범 생산

울산2공장서 C-rPET 제조

1000억 들여 ‘그린팩토리’ 전환 발판

롯데케미칼의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사진 제공=롯데케미칼롯데케미칼의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사진 제공=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011170)이 플라스틱 자원 선순환 기술로 주목받는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의 시범 생산에 나섰다고 23일 밝혔다. 선도적으로 화학적 재활용 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한 것이다.



롯데케미칼은 이달 자체 기술로 울산2공장의 페트 공장 개조를 완료했다. 16일부터 시범 생산에 들어가 약 20일간 4200톤 규모의 제품을 생산한다.

관련기사



지난해 4월 롯데케미칼은 국내 최대 페트 생산 기지인 울산공장을 화학적 재활용 사업의 전초기지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울산2공장에 약 1000억 원을 투자해 국내 최초로 폐페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해중합 공장(BHET 생산)을 4만 5000톤 규모로 신설하고 여기서 생산된 재활용 원료를 투입해 다시 페트로 만드는 11만 톤 규모의 재활용 페트 생산 설비를 2024년까지 구축하기로 했다. 이후 2030년까지 34만 톤 규모의 울산공장 내 기존 페트 생산 공정을 전량 화학적 재활용 페트로 전환, 생산할 예정이다.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는 “이번 시범 생산을 통해 울산공장을 그린팩토리로 전환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며 “향후 국내 최초의 해중합 공장과 화학적 재활용 페트 생산 설비 구축이 완료되면 대량의 재생 페트 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활용 페트의 대량생산을 위한 원료 확보 및 자원 선순환 문화 정착을 위해 국내 수거 업체들과 상생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