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집값 5억 하락했는데"…이 와중에 호가 '억' 높이는 집주인

■하락장에도 '배짱호가' 단지

시총 상위 50곳 전수조사 결과

실거래 70% '하락 거래'에도

7~8월 호가는 1억 이상 비싸

대출부담 적은 핵심지 1주택자

"급할 것 없다" 가격방어 나서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금리 불확실성과 집값 고점 인식으로 매수 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가운데 주요 지역 핵심 단지에서는 집주인이 매물 호가를 내리지 않고 버티는 ‘방어전’에 나서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다. 오히려 실거래 가격 보다 호가를 높여 부르기도 한다. 다만 이들 단지에서도 직전 거래 대비 가격이 수 억 원 떨어지는 하락 거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추후 호가 또한 내려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8일 서울경제가 KB국민은행 선정 전국 시가총액 상위 50개 단지 가운데 올 7~8월 거래가 있었던 28개 단지의 실거래 59건 및 매물 호가를 전수 조사한 결과 최근 실거래 가격에 비해 호가가 평균 1억 원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단지의 평균 실거래 가격은 22억 7432만 원이었지만 평균 매물 호가는 24억 1887만 원으로 1억 4455만 원 높았다.



이 같은 현상은 실거래 59건 중 41건(69.5%)이 직전 거래 대비 낮은 가격에 체결된 ‘하락 거래’인 가운데 나타나 주목된다. 전반적으로 거래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데도 매도자들이 호가를 내리지 않는 ‘버티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할 수 있는 대목이다.

관련기사





개별 단지를 살펴봐도 이 같은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동구 상일동 ‘고덕아르테온’ 전용 84.93㎡의 실거래가는 올해 4월 19억 8000만 원(11층)에서 8월 14억 8000만 원(19층)으로 5억 원 하락했다. 하지만 같은 주택형 호가는 현재 16억 2000만~20억 원 선에 형성돼 있다. 단지 인근의 A공인중개사는 “최근 실거래가 특수 거래라고 생각해 시세로 받아들이지 않는 집주인이 적지 않다”며 “급할 것이 없는 일부 매도자는 최고가 거래보다 높은 가격에 매물을 내놓기도 한다”고 전했다.

이 같은 ‘호가 버티기’ 현상은 일부 단지에서 신고가 거래가 나오면서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서울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 99.99㎡는 올해 6월 신고가인 36억 원(32층)에 거래된데 이어 7월 37억 3000만 원(31층)에 매매돼 최고가 기록을 새로 썼다. 신고가가 나오면서 일부 매물은 현재 최근 거래 가격보다 높은 40억 원에 나와 있다. 인근 B공인 관계자는 “매수 문의가 많지는 않지만 하락기에도 핵심 지역 주요 단지 가격은 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집주인이 많다”며 “최근 신고가 거래까지 나오면서 호가는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핵심 지역 내 대단지의 1주택자 소유자이고 대출이 많지 않다면 집값이 다소 조정세를 보이더라도 급히 매물을 내놓을 필요는 없을 것”이라며 “하락기에는 일부 단지에서 실거래가와 호가 간 차이가 많게는 수 억 원 나기도 한다”고 말했다. 다만 송 대표는 “금리라는 변수가 시장을 통제하는 상황에서 실거래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 결국 매물 가격도 하락할 수밖에 없다”며 “아무리 핵심 지역의 주요 단지라도 전체 시장 흐름을 이기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