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속보] 尹대통령 “국가가 부모 심정으로 자립준비청년 챙겨야”

“국가의 존재 이유는 국민 보호”

납품단가 연동제 법제화 전

기업 상생 문화 정착 당부

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룸에서 김은혜 홍보수석이 수석비서관회의 내용 등 현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룸에서 김은혜 홍보수석이 수석비서관회의 내용 등 현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최근 만 18세가 된 청년들이 아동복지시설 보호를 받지 못하게 돼 생활고로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일이 잇따라 발생하자 관계 부처에 대책 마련을 재차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수석비서관 회의를 열고 “상급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싶고, 일자리를 얻고 싶고, 안정된 주거지를 갖고자 하는 자립준비청년들의 바람이 꺾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고 김은혜 홍보수석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주에도 관계부처에 자립준비청년 지원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으며 이날 관련 보고를 받았다. 윤 대통령은 참모진에 “국가가 전적인 책임을 지고 자립준비청년들이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부모의 심정으로 챙겨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김 수석은 “부모 없이 사회에 나와서 학업과 일자리, 주거의 불안에 시달리는 일이 없도록 정부가 가족을 대신하는 책임감으로 임해달라는 (윤 대통령의) 당부였다”며 “다시는 이러한 안타까운 비극이 벌어지지 않도록 약자에 손을 내미는 것이 정부의 의무라는 게 윤 대통령의 의지”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가의 존재 이유는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서이고 그중에서도 어려운 국민을 우선 보호해야 한다는 틈새를 우리가 잊고 살았다”며 “도움이 필요한 청년들에게 그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게 탄탄한 복지사회, 윤석열 정부가 지향하는 복지의 기조”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회의에서 납품단가연동제 법제화 이전이라도 기업 상생 문화가 정착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납품단가연동제는 원사업자와 하청업체 간 하도급 거래 과정에서 원자재 가격이 변동할 경우 이를 납품단가에 자동으로 반영하도록 하는 제도다.

윤 대통령은 “납품단가연동제에 대해 국회에서 입법화가 논의하고 있으나, 법제화 이전이라도 상생의 기업문화를 만들고 공정과 상식의 거래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정부가 먼저 노력해달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앞서 지난 5월 25일 중소기업인대회 때도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이 열려야 한다. 경제와 일자리를 책임지는 분들이 자부심 갖고 일할 수 있도록 정부가 최선을 다해달라”고 말한 적 있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