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아르테미스, 내달 2일이나 5일에 발사 재개할 듯

로이터연합뉴스로이터연합뉴스




반세기 만에 재개된 유인 달 탐사 프로그램 '아르테미스'의 발사가 엔진의 액체수소 누수 문제로 연기된 가운데 다음달 2일이나 5일에 재시도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2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은 이날 오전 8시 33분(미 동부 시간 기준) 예정됐던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의 아르테미스Ⅰ의 발사를 연기했다.

관련기사



나사는 이날 오전 6시 30분 발사와 관련된 공식 생중계 방송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로켓에서 문제가 발견되면서 이를 연기하고 카운트다운도 중지했다. 뉴욕타임스(NYT)는 "4개의 코어스테이지 엔진 중 하나에 문제가 생겼다"고 설명했다. 이어 "로켓의 추진체 탱크에 액체산소와 액체수소를 추가하는 작업이 약 45분간 지연됐다"며 "액체산소 탱크 충전은 문제 없이 진행됐으나 액체수소는 누수가 감지됐다"고 덧붙였다. NYT는 이 문제가 지난 4월에도 발생한 적 있다고 전했다.

아르테미스Ⅰ은 1972년 아폴로 17호가 달에 다녀온 지 무려 50여 년 만에 재개되는 유인 달 탐사 프로그램 아르테미스의 첫 비행 미션이어서 큰 관심을 받았다. 특히 아르테미스Ⅰ에는 실리는 유인 캡슐 ‘오리온’ 에 뼈와 장기·연조직 등 인체 조직과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마네킹이 실리고 5600개의 센서와 34개의 방사능 감지기도 장착, 우주비행사가 달에 안전하게 다녀올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오리온은 발사 6일째에 달의 궤도를 비행하기 시작하며 약 2주간 비행한 뒤 발사 24일째에 지구로의 귀환을 시작한다. 당초 계획대로 이날 발사되면 총 42일간의 비행을 마치고 10월 10일 미국 샌디에이고 앞 태평양에 착수할 예정이었다.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은 총 3단계로 구성됐다. 이번 1단계에 이어 2024년으로 예정된 2단계에서는 실제 사람을 태우고 달 궤도를 다녀오는 유인 비행을 진행한다. 2025년 진행되는 3단계에서는 최초로 여성과 유색인종 등으로 구성된 우주비행사들을 달 남극 표면에 착륙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직 탐사된 적이 없는 달 남극 표면에는 물이 얼음 형태로 저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나사는 장기적으로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화성 탐사의 전초기지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달 착륙에 성공한 뒤 인류가 달에 장기 체류할 수 있는 기반을 세우고 이후 우주인을 화성에까지 보내겠다는 것이다. 프로젝트명 ‘아르테미스’는 반세기 전의 달 탐사 프로그램 ‘아폴로’의 뒤를 잇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신 아폴로와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는 쌍둥이 남매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