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SEN]셀리버리, 글로벌 제약사와 유전자·단백질 융합치료법 라이센싱 논의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셀리버리(268600)는 17일 세계 5위권 글로벌 제약사 중 한 곳으로부터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 (adeno-associated virus: AAV)와 세포간 연속전송 (TSDT) 플랫폼기술을 융합한 유전자/단백질 융합치료법 (AAV-TSDT) 라이센싱을 위한 비밀유지계약 (CDA) 체결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사업관계자에 따르면 이 글로벌 제약사의 비즈니스 전략은 실제적인 라이선스-인 의지가 없다면 아예 비밀유지계약을 체결하지 않기로 유명한 매우 보수적인 제약사이기 때문에, 계약 협상의 시발점으로써 첫 단추가 잘 채워졌다고 알려진다.


이번 대면 미팅에는 조대웅 셀리버리의 대표이사와 사업개발 (BD) 및 퇴행성뇌질환 (NDD) 연구책임자들이 참석하였으며, 셀리버리의 TSDT 플랫폼기술에 대한 사전 조사로 TSDT기술의 이해도가 높은 이 글로벌 제약사 본사의 사업개발부 임원들에게 유전자/단백질 융합치료법에 대한 최신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핵심 내용인 ‘현재의 유전자치료법에 왜 셀리버리의 TSDT 플랫폼기술 융합없이는 신약으로써 개발이 안되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했고 이후, 글로벌 제약사와의 즉각적인 라이센싱 논의가 진행되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 글로벌 제약사 핵심 책임자들은 셀리버리의 TSDT 플랫폼기술의 세포막 투과 펩타이드 (aMTD)의 반감기 (half-life), 뇌질환 이외에도 이 기술이 적용 가능한 치료범위 등과 같은 기술 특성에 대한 질문들 및 안전성과 독성에 대한 다양한 질문들이 있었고, TSDT 플랫폼기술에 대한 면역원성 (immunogenicity)과 독성시험 결과 데이터 패키지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말함으로써 이 글로벌 제약사의 비밀유지계약 체결에 합의 할 수 있었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조대웅 대표는, “많은 글로벌 제약사들은 단회 투여로 치료가 가능하고 비교적 안전하다고 알려진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 (AAV)를 이용해 유전자치료법 개발을 하려고 하는데, 현재 우리 파트너社도 이 유전자치료법을 해봤지만 바이러스로 생성된 단백질은 특히 뇌에서 잘 안퍼져서 치료효능이 없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기술과 융합한 유전자/단백질 융합치료법을 개발하게 됐다.” 라고 개발배경을 설명했다. 또한, “지금까지 이런 종류의 치료법은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유전자치료법 (gene therapy), 단백질치료법 (protein therapy), 이 두가지 플랫폼기술의 융합은 들어본 적이 없다 (As I know there has been no this kind of therapy so far, AAV gene therapy, aMTD protein therapy, this two platform fusion I’ve never been heard.)” 라고 말했으며 글로벌 제약사 사업개발 책임자도 “없다. (None)” 라고 단호하게 화답했다고 회사는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smileduck29@sedaily.com

서정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