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상의 부회장 "IRA, 한미 FTA 위반, 현대차 유예 가능할 것"

"美 상의가 IRA 우려 직접 백악관에 전달"

세부 규정에선 무역협정 위배 등 살필 것

"中제재, 안보 목표 이상으로 해선 안돼"

"IPEF서 한국보다 중요한 파트너는 없어"

찰스 프리먼 미국 상공회의소 아시아 총괄 선임부회장이 지난 13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 있는 상의 사무소에서 코트라(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 주선으로 한국 언론 특파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KOTRA 제공찰스 프리먼 미국 상공회의소 아시아 총괄 선임부회장이 지난 13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 있는 상의 사무소에서 코트라(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 주선으로 한국 언론 특파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KOTRA 제공




미국 재계 최대 이익 단체인 미 상공회의소의 찰스 프리먼 선임부회장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한국 전기차 차별 문제에 대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세계무역기구(WTO)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이 명확하다”고 밝혔다. 그는 “미 상의가 IRA에 대한 우려를 백악관에 직접 전달했다”면서 “현대자동차에 대한 2년 정도의 적용 유예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프리먼 선임부회장은 13일(현지시간) KOTRA 워싱턴무역관 주선으로 열린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전기차 차별 문제가) 한국 기업들의 투자에 도움이 되지 않는 선례가 될까 우려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프리먼 선임부회장은 미 상의에서 아시아 지역을 총괄하고 있다.



그는 미국이 ‘동맹(한국)과의 경제 협력’과 ‘미국 내 공급망 강화’라는 두 개의 목표를 추구하면서 이번 문제가 생겼다고 진단하고 “전기차 세액공제 조항이 두 목표가 충돌하는 사례라는 우려를 미국 정부에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미 재무부가 IRA 세부 규정을 수립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세부 규정은 세액공제 조항이 기존 무역협정이나 WTO 의무에 위배되지 않도록 명확하게 하는 수단이기도 하다”면서 “행정부가 의회의 (법안) 수정 없이 이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다"고 말했다.

프리먼 선임부회장은 아울러 미국의 과도한 보호주의를 거듭 경계했다. 그는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 등 미국 우선주의에 대해 “미국 내 생산과 조달을 더 장려하고자 하는 (정부) 논리를 분명 이해한다”면서도 “국내 생산 비중 규정은 늘 보호주의를 위한 핑계가 된다”고 우려했다. 중국을 향한 미국의 전방위 수출 통제에 대해서도 “국가 안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무역을 제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 중국 담당 차관보와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중국석좌를 역임한 그는 미국 내 대표적인 중국통으로 분류된다.

프리먼 선임부회장은 오는 19~20일 서울에서 열리는 제34차 한미재계회의 참석차 주요 미국 기업 관계자를 이끌고 방한할 예정이다. 그는 “한국이 전 세계에 제공하고 있는 많은 상품과 서비스들은 새로운 경제적 기회의 최첨단에 있다”면서 “(미국의 추진하는)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에서 한국보다 더 중요한 국가는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