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골다공증 앓는 성인남성, 충치 발생 위험도 높아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의료진

1만7000명 골밀도·구강검사 결과 조사

뼈와 치아건강 사이의 상관관계 확인 ? ?


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성인은 치아우식증(충치) 발생 위험도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명준표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사용해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성인 1만 7141명의 골밀도 및 구강검사 결과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관련기사



남성의 평균 우식 경험 영구치지수(DMFT index)에 대한 표준화 계수는 0.98로, 골밀도가 정상 범위인 그룹보다 골다공증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DMFT 지수는 충치가 생긴 영구치(우식치) 개수, 빠진 영구치(상실치) 개수, 충전치료를 받은 영구치(충전치)의 개수 등을 합산한 것으로 치아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로 쓰인다. 지수가 낮을수록 더 건강한 치아를 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폐경 후 여성도 평균 DMFT 지수에 대한 계수가 0.86으로 골다공증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명준표 교수는 “골다공증을 여성질환으로 오인해 남성들은 뼈 건강을 소홀히 하기 쉽다"며 "남성도 골다공증이 있으면 치아 건강에도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구강관리와 함께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로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