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연준 '속도조절론'에…뉴욕증시 2% 상승 마감[데일리국제금융시장]

다우 2.47%↑…S&P500지수 2.37% 나스닥 2.31%

스냅 주가 30% 폭락…아멕스·버라이즌·트위터 약세

로이터 연합뉴스로이터 연합뉴스




기업 실적 발표 속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상 속도 완화 기대에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21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31,082.56으로 장을 마쳐 전날보다 748.97포인트(2.47%) 올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6.97포인트(2.37%) 상승한 3,752.75로, 나스닥 지수는 244.87포인트(2.31%) 오른 10,859.72로 장을 마감했다.

한주간 3대 지수 상승률은 지난 6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 주에 비해 다우지수는 4.89% 상승했고 S&P500지수는 4.74%, 나스닥지수는 5.22% 상승했다.

연준이 금리 인상의 속도 조절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연준이 오는 11월 회의에서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겠지만 12월에는 이보다 작은 폭의 금리인상을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 일부 연준 위원들이 조만간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고 내년 초 금리 인상을 중단하길 바란다는 뜻을 시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준 내부에서도 속도 조절론이 나오는 가운데 연준이 12월에 0.50%포인트의 금리 인상을 원한다면 11월 회의 이후 몇주간 시장이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는 게 WSJ의 전망이다.

해당 보도 이후 미 금리선물 시장에 반영된 연준의 12월 회의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장중 50% 아래로 떨어졌다. 반면 해당 회의에서 0.50%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50%를 넘어섰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이날 연설에서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해야한다고 주장하며 힘을 실었다. 그는 추가 긴축이 필요하다면서도 과도하게 긴축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WSJ의 보도와 데일리 총재의 이같은 발언에 달러화 가치는 하락하고 2년물 금리는 하락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ICE달러지수’는 장초반 113을 웃돌다가 111.839에서 거래됐다.

관련기사



2년물 국채금리는 4.50%를 기록하며 10bp 이상 밀렸고, 10년물 국채금리는 4.22%로 약보합세를 보였다.

투자자들은 기업 실적에도 주목했다. 지금까지 기업 실적을 발표한 S&P500지수 상장 88개 기업의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평균 2.6% 줄었다. 다만 이들 중 4분의3가량은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내놓고 있어 선방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기업 실적은 종목별로 엇갈렸으나, 스냅의 주가가 크게 밀리면서 기업 실적 전반에 대한 우려가 커진 모습이다.

스냅의 분기 매출이 시장의 예상치를 밑돌았다는 소식에 주가가 30% 가까이 폭락했다. 또 매출 증가율이 상장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며 비관론이 확산했다.

아멕스의 주가는 1.7%가량 하락했다. 회사의 순이익과 매출이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신용손실에 대비한 대손충당금이 이전보다 크게 늘어나면서다.

버라이즌의 주가는 5%가량 떨어졌다. 예상치를 웃돈 실적에도 소매 후불 전화 가입자수가 3개 분기 연속 줄었다는 소식이 주가를 끌어내렸다.

트위터의 주가는 바이든 행정부가 트위터를 포함해 일론 머스크의 벤처기업들이 국가 안보 영향 검토 대상인지를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에 5%가량 하락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연준의 매파적 기조가 정점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에드워드존스의 모나 마하잔 선임 투자 전략가는 마켓워치에 “연준이 공격적인 금리 인상 속도를 완화할 수 있다는 웅성거림을 듣기 시작했다”며 “그동안 시장이 12월 0.75%포인트 금리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반영해왔다는 점에서 이번 전망은 끝의 시작일 수 있다”고 했다.

또 스티펠의 배리 배니스터 수석 주식 전략가는 CNBC에 출연해 “우리는 연준의 멈춤이 필요하다. 그들이 미래의 금리 인상 전부를 중단해야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연준은 지표가 내년 상반기 이후 우리의 예상대로 움직인다면 더이상 금리를 올릴 필요가 없다고 말해야한다”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11월에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96.5%를, 12월에도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46.3%에 달했다. 이는 전날의 75.4%에서 하락한 것이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29포인트(0.97%) 하락한 29.69를 나타냈다.


조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