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환율 방어에 외환보유액 27.6억 달러 감소…3개월째 줄어

국민연금 외환스와프 체결 등 영향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를 정리하고 있다. 오승현기자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를 정리하고 있다. 오승현기자




외환 당국이 환율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시장에 개입하고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를 체결하는 등 각종 조치에 나서면서 외환보유액이 27억 달러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10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이 4140억 1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27억 6000만 달러 줄었다고 3일 밝혔다. 2008년 10월 이후 최대로 줄었던 9월(-196억 6000만 달러) 대비 감소 폭이 크게 줄었으나 8월 이후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관련기사



한은 관계자는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은 증가했으나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체결에 따른 일시적 효과 등 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 등으로 외환보유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9월 대비 외환시장 쏠림현상이 완화되면서 변동성 완화 조치 규모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원·달러 환율은 8월 말 1347원 50전에서 9월 말 1434원 80전까지 뛰었으나 10월 말 1419원 30전으로 소폭 하락했다. 국민연금과 외환 당국 간 외환스와프, 조선·해운 등 수출기업의 달러화 매도 등이 나타나면서 국내 수급 여건이 개선됐다는 평가다.

외환보유액을 자산 별로 살펴보면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이 3623억 5000만 달러로 170억 6000만 달러나 감소했다. 반면 예치금이 282억 9000만 달러로 141억 달러 늘어나면서 감소 폭을 줄였다. 국제통화기금 특별인출권(SDR)이 1억 6000만 달러, IMF 포지션이 3000만 달러 증가했다. 9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세계 9위 수준을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원·달러 환율이 우리 경제의 펀더멘탈, 주요 통화의 움직임과 과도하게 괴리돼 쏠림현상이 심화되는 경우 적극적인 시장안정화 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