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 동구 '물치도'(옛 작약도) 복합해양공간으로 재탄생

민간사업자 굿 프랜드, 7800여㎡ 2024년까지 개발 추진

인턴시 동구 옛 작약도인 물치섬 전경. 사진제공=인천시 동구인턴시 동구 옛 작약도인 물치섬 전경. 사진제공=인천시 동구




인천 영종도 옆 무인도인 '물치도'(옛 작약도·사진)를 복합 해양공간으로 개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11일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부동산 관련 업체 굿프렌드는 지난달 20일 인천해수청에 물치도 개발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 업체는 인천시 동구 물치도 땅 7만2000여㎡의 약 10%에 해당하는 7800여㎡를 2024년 12월까지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총사업비 110억원을 들여 휴식·여가·체험이 가능한 복합 해양공간을 조성하고, 휴양시설·카페·낚시터·선착장 등도 마련할 계획이다.

업체는 영종도 구읍뱃터∼물치도∼월미도를 오가는 뱃길을 열어 관광객 유치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업체는 앞서 경매를 통해 물치도를 낙찰받은 뒤 2020년 4월 소유권을 이전받았다.

관련기사



인천해수청은 개발사업 승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과 협의 절차를 밟고 있다.

인천해수청 관계자는 "업체는 개발사업 승인을 받으면 내년 1월 공사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라며 "섬에 있는 숲은 그대로 보존한 상태로 개발이 추진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인천 영종도와 월미도 사이에 있는 물치도는 연간 25만명이 찾던 인천 대표 휴양지였으나 섬과 육지를 오가던 유람선이 2013년 끊긴 뒤 무인도로 남아 있다.

앞서 여러 차례 소유권 이전을 거치면서 유원지 개발이 추진됐으나 모두 무산됐다.

이 섬은 조선 시대 후반 이후까지 거센 조류를 치받는다는 의미로 추정되는 '물치도'로 불렸으나, 일제강점기 한 일본인이 섬을 사들인 뒤에는 '작약도'로 이름이 바뀌기도 했다.

관할 지자체는 고유 이름을 되찾기 위해 지명 변경 작업을 추진했고, 2020년 국가지명위원회는 섬의 이름을 작약도에서 물치도로 변경했다.

인천=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