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韓 포탄 美 통해 우크라 전달' 보도에…국방부 "살상무기 지원 않는다"

WSJ "한미 국방장관 원칙적 합의"

국방부 "관련 논의 없었다" 선그어

美 탄약 재고 보충위해 수출 협의

北, 러에 무기 등 제공설 나오기도

韓 "결의 위반 가능성 계속…우려"

9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 헤르손 최전선 부근에서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2S7 피온 자주포 위에 올라타 있다. 연합뉴스9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 헤르손 최전선 부근에서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2S7 피온 자주포 위에 올라타 있다. 연합뉴스




한국산 포탄이 미국을 통해 우크라이나로 전달될 수 있다는 일부 외신 보도에 대해 우리 국방부가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쐐기를 박았다.



앞서 10일(현지 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이달 초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과 만나 한국의 155㎜ 구경 포탄 10만 발을 미국이 구매하는 방안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미국은 해당 포탄을 우크라이나에 전달할 계획이라는 미국 관리들의 전언도 해당 보도에 곁들여졌다.

관련기사



그러나 이에 대해 우리 국방부 관계자는 “(이 장관과 오스틴 장관 사이에) 우크라이나 지원 관련 논의는 없었다는 입장”이라고 선을 그었다. 우리나라의 이번 탄약 수출 협의는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탄약을 대거 지원하면서 미군 자체적으로 사용할 재고가 부족해진 것을 보충하기 위한 차원일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겨울용 군복을 제작해 수출 중이라는 보도가 추가로 나온 데 대해 우리 정부는 “관련 동향을 예의 주시하는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11일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러시아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 위반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는 데 대해 우려를 갖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최근 북한이 외화벌이를 목적으로 러시아에 제공할 겨울용 군복과 방한화를 만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 내용이 사실일 경우 두 나라가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셈이다.

미국 백악관도 10일(현지 시간) 북한이 탄약을 포함한 수백 만 개의 무기를 제3국행 물품으로 은닉해 러시아에 제공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려를 갖고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