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시신 인도' 연락에 묵묵부답…통일부 "답변 기다릴 계획"

14일 오전9시 연락사무소 정상통화했지만 北언급 없어

조중훈 통일부 대변인이 지난달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조중훈 통일부 대변인이 지난달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북한이 14일 오전 9시 남북연락사무소 간 업무개시 통화에서 시신 인도와 관련한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고 통일부가 밝혔다.

관련기사



조중훈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오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9시 업무 개시 통화 시에 북한 주민 추정 사체 인도와 관련해 북한 측의 언급은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통일부는 11일 오전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북한 주민으로 추정되는 여성 시신 1구를 북측에 송환하겠다는 내용의 대북 통지문 발송을 시도했다. 이어 같은 날 오후에도 수령 여부를 거듭 타진했지만 북측은 끝내 수령하지 않았다.

조 대변인은 “지난주 금요일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몇 차례 통지문 전달을 시도했고, 또 언론을 통해서 우리 측 입장을 밝혔다”면서 “통일부는 일단 우리 의사가 북한에 전달됐다고 보고 우리가 제시한 인계 날짜인 17일까지 북측의 답변을 기다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조 대변인은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북핵 문제와 관련해 강경하게 대응하겠다는 한미일 정상 공동성명이 나왔는데 대북 정책에 변화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북 정책의 변화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이번 공동성명에 보시면 ‘북한과 평화롭고 외교적인 해결을 위한 대화의 길은 여전히 열려있다’는 점도 함께 강조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이번 공동성명이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의 변화가 아닌 기존 대북정책의 연속성 위에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겠다”고 답했다.


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