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봉현, 전자팔찌 끊고 나흘째 도주…경찰, 공용물건손상 혐의로 수사

김봉현, 전자팔찌 끊고 도주 4일째…

경찰, 공용물건손상 혐의로도 수사

해경, 밀항 가능성에 해상 경계 강화

라임자산운용 사태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11일 오후 재판을 앞두고 전자장치를 끊은 채 도주했다. 사진은 김봉현 전 회장의 최근 모습. 서울남부지검 제공라임자산운용 사태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11일 오후 재판을 앞두고 전자장치를 끊은 채 도주했다. 사진은 김봉현 전 회장의 최근 모습. 서울남부지검 제공




경찰이 전자팔찌를 끊고 도주한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에 대해 공용물건손상혐의로 수사에 나섰다.



14일 경찰은 법무부의 수사 의뢰에 따라 김 전 회장을 공용물건손상 혐의로 수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법무부 서울보호관찰소는 지난 11일 김 전 회장이 달아난 직후 서울 강남경찰서에 김 전회장을 수사 의뢰했다. 경찰은 김 전 회장의 주거지를 고려해 해당 사건을 수서서로 이관했다.

‘라임자산운용 사태’의 핵심 관계자인 김 전 회장은 스타모빌리티의 회삿돈을 비롯해 재향군인회(향군)상조회와 수원여객의 자금 등 약 1000억 원을 횡령한 혐의로 서울남부지법에서 불구속 상태로 재판을 받아왔다.

김 전 회장은 2020년 5월 구속 기소됐다가 지난해 7월 보석으로 석방됐다. 서울남부지법은 ‘고인의 방어권 보장’을 이유로 보증금 3억 원, 주거제한, 전자장치 부착 및 실시간 위치 추적을 조건으로 보석을 인용했다.



이후 검찰은 지난달 26일 김 전 회장이 도주할 우려가 크다며 서울남부지법에 보석 취소를 신청했다. “피해자들과 합의가 되지 않아 중국 밀항을 준비했다”는 내부자 진술이 확인되면서다. 그러나 법원은 약 3주 가까이 보석 취소를 인용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결국 김 전 회장은 지난 11일 오후 1시 30분쯤 결심 공판을 약 1시간 앞두고 경기 하남시 팔당대교 인근에서 전자팔찌를 끊어 도주했다. 김 전 회장은 4일째 잡히지 않고 있다.

서울남부지검은 김 전 회장의 도주를 도운 것으로 추정되는 조카 A씨의 휴대전화와 차량 블랙박스를 압수해 포렌식 중이다. 검찰은 A씨가 자신의 휴대전화에 김 전 회장의 휴대전화 유심을 바꿔 끼우고 차량 블랙박스의 메모리카드를 빼놓은 정황을 포착했다.

경찰도 김 전 회장이 밀항을 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해상 경계를 강화했다. 14일 해양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최근 김 전 회장을 추적 중인 서울 남부지검의 요청을 받고 전국 항·포구에서 순찰과 검문·검색을 강화했다. 경찰은 서해안과 남해안에 각 해경서 소속 경비함정을 추가로 배치하는가 하면, 육군 해안 경계 부대와 해군 군함에도 연락해 “식별이 제대로 되지 않는 선박이나 의심스러운 보트를 잘 감시해 달라”고 요청했다.

해경청은 김 전 회장이 부산이나 거제에서 일본으로 밀항하거나 평택 등 서해안에서 중국으로 몰래 넘어갈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또 밀항 브로커를 통해 대형 화물선을 섭외한 뒤 동남아 국가로 밀항할 수 있다고 보고 경계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해외로 몰래 가는 밀항 루트는 수백 개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밀항업자들은 통상 연락책, 육·해상 운반책, 알선책 등으로 역할을 나눠 점조직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 전 회장이 밀항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최근 그의 얼굴 사진을 배포해 공개 수배 중이다.


김남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