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국가시험에 원서를 낸 의대생들이 전체 응시자의 11%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의대생들의 집단 보이콧이 현실화한 것으로 올해 초 전공의들의 집단 이탈로 의료공백이 6개월간 이어지는 가운데 내년 신규 의사 배출이 사실상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정부는 추가 국시 실시를 검토하는 등 의대생들을 최대한 설득하는 한편 전문의 중심 병원 전환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2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이 26일까지 의사 국시 실기시험 원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364명이 원서를 냈다. 의대 본과 4학년 학생 3000여명에 전년도 시험 불합격자, 외국 의대 졸업자 등 3,200여명이 응시 대상 인원이었는데 11.4%가량만 지원했다. 특히 의대생은 전체의 5%에 불과한 159명만 원서를 냈다.
의대생들이 수업 거부에 이어 국시마저 외면함에 따라 내년에 배출될 의사가 극소수에 그칠 가능성이 커졌다. 매년 3000명 가량의 의사가 배출되던 예년과 달리 신규 의사 공급이 뚝 끊기는 셈이다. 신규 의사 배출이 중단되면 대형병원에서 수련할 인턴·레지던트 등 전공의는 물론이고 전문의 배출까지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정부의 각종 유화책에도 수련병원에 돌아온 전공의들이 소수에 불과한 데다 사직 전공의들이 9월에 시작할 하반기 모집에도 지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만큼 의료공백 상황이 장기화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의료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도록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면서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통해 필수의료 등 의료개혁에 집중할 방침이다. 의대생들의 국시 응시를 최대한 설득하고 필요할 경우 추가 국시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전공의 숫자가 대폭 줄어도 8월 말까지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시범사업’ 등을 발표하는 등 의료개혁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상급종합병원을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전환해 중증·응급 환자 진료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정부는 국회 입법으로 진료지원(PA) 간호사가 합법화되면 의료 현장에서 더 많은 PA 간호사가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