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경련 조직 개혁에 ‘내홍’

재계를 대표하는 전경련이 현명관 부회장 체제이후 급속한 체질개선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심한 내부 혼란에 시달리고 있다. 전경련 역사상 처음으로 시도한 명예퇴직은 이 같은 내부 혼란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대표적인 사례. 현재까지 전체 직원(134명)의 20% 가량이 무더기 신청했다. 당초 예상의 2배를 넘는다. 입사 5~10년 정도의 젊은 인력도 다수 포함됐다. 한 직원은 “현명관 부회장 취임 후 잇따라 도입되는 `삼성식 운영방식`에 상당수 직원들이 간극을 느끼고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직원들의 근무자세가 너무 느슨하다”는 한 임원의 말과는 배치되는 대목이다. 전경련은 일단 명퇴를 신청한 직원 전부를 퇴직시킨다는 방침이다. 이어 대규모 인사로 인력 누수를 피하고, 신규 수혈은 당분간 하지 않을 계획이다. 대신 분위기 쇄신을 위해 조만간 직원 워크숍을 열어 재계 대표기구로서의 위상을 되찾을 복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전경련 고위 관계자는 “직원들의 동요가 예상되지만 현재의 전경련으로선 재계의 이익을 대표할 수 없다”고 못박고, “능력과 조직문화에서 큰 변화가 필요하다”며 조직 변신의 의지를 강력하게 나타냈다. 반면 이번에 명퇴를 희망한 입사 10년차 한 직원은 “임원급은 외부에서 수혈되고 급여는 회원사 중간도 되지 않는 현실에서 승진이나 금전적 보상이 제한된 조직에 더 이상 몸담는게 의미가 없다”는 말로 대신했다. <김영기기자 young@sed.co.kr>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