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對日무역적자 환란후 최대

올 8월까지 40.8% 급증 89억 999만달러최근 일본에 대한 무역역조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올해 대일(對日) 무역수지 적자폭이 외환위기 이후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1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 1~8월 중 대일 무역적자는 89억999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63억6,025만달러보다 40.8%나 늘어났다. 이 기간 적자폭은 97년 같은 기간에 91억9,026만달러의 적자를 본 후 5년 만에 최대규모다. 무역협회는 이런 추세라면 연말까지 130억달러 전후의 적자가 예상돼 연말 누계로 외환위기 직전인 97년의 131억3,595만달러 적자 수준에 육박하거나 초과할 것으로 예상했다. 협회는 대일 무역적자폭이 커지고 있는 것은 일본의 경기침체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대일 수입에 비해 수출이 상대적으로 부진하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특히 99년도부터 수입선다변화정책 폐지로 가전ㆍ기계 등 분야에서 수입이 급증한 것이 대일 무역적자폭 확대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 8월 말 기준으로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186억3,12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4.4% 증가했지만 수출은 97억2,120만달러로 오히려 15.3% 감소했다. 이는 같은 기간 일본의 수입이 5.1% 줄어들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대일 수출 감소폭이 훨씬 컸다는 의미로도 풀이된다. 김극수 무역협회 팀장은 "일본에 대한 수출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 제품이 일본 수입시장에서 중국산에 밀리고 있는 것이 큰 요인"이라며 "아직도 대일 자본재 수입의존도가 높아 우리나라 경기가 본격 회복될 경우 대일 무역역조가 더욱 심화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강동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