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사 신속퇴출·'작전' 처벌강화 시급'등록기업 1,000개 시대'를 앞둔 코스닥 시장은 외형성장에 걸맞는 탄탄한 내실을 다져야 한다는 과제를 동시에 떠안고 있다.
기업수로는 세계 2위로 올라서지만 등록기업의 거품현상과 불공정 거래관행 등 적잖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또 일부에선 회복조짐을 보이는 시장에 찬물을 끼얹지 않도록 등록기업의 속도조절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 팽창하는 시장규모
지난 96년7월 출범한 코스닥시장은 99년 등록기업 400개를 넘어서 ▦2000년 608개 ▦2001년 721개 등으로 해마다 꾸준한 증가세를 타고 있다.
시가총액도 2000년 29조원에서 지난해 52조원으로 두배 가까이 늘어났으며 2월말 현재 60조원까지 불어난 상태다.
시가총액면에서는 아직 일본 자스닥에 뒤지지만 거래대금이나 기업수는 추월, 세계 2대 신시장으로 올라서는 셈이다. 코스닥은 지난해 15억달러의 거래대금으로 자스닥(1억7,000만 달러)을 훨씬 앞질렀다.
이에따라 코스닥은 일단 벤처기업을 비롯한 중소기업의 주요 자금원이자 투자자들과 유망기업을 연결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올해도 증시 회복세를 타고 기업들의 코스닥 입성경쟁은 그 어느 해보다 치열하게 벌어질 전망이다. 그동안 꽁꽁 막혔던 자금줄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한껏 고조되기 때문이다.
코스닥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월말 현재 신규등록을 위해 증권사와 주간사 계약을 체결한 회사만 193개, 여기에다 계약을 준비중인 회사도 194개에 달한다. 더욱이 증시가 뚜렷한 회복조짐을 보이자 뒤늦게 등록을 서두르는 업체들도 줄을 잇고있다.
노승환 동원증권 IPO(기업공개)담당 부장은 "이미 23개사와 주간사 계약을 체결했다"며 "증시활황세가 이어질 경우 등록을 추진하는 기업이 훨씬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 퇴출ㆍ감시 강화등 내실화 시급
최근 코스닥시장의 최대현안은 등록기업의 퇴출문제에 집중되고 있다. 부실기업을 제대로 솎아내야만 우량기업으로 자금이 흘러가는 선순환이 가능하고 세계적 벤처기업도 탄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기존 투자자들의 피해만을 우려해 퇴출을 기피할 경우 20여년 역사상 단 1개 기업만 퇴출시킨 자스닥의 전철을 밟을 수 밖에 없다.
장범식 숭실대 교수(경영학)는 "등록심사 강화보다는 부실기업을 하루빨리 퇴출시키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물론 퇴출기업이 경영정상화를 이루면 코스닥으로 어렵지않게 'U턴'할 수 있는 방안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온라인 거래를 틈타 판치고 있는 작전세력 단속과 머니 게임에 대한 감시강화, 불공정거래에 대한 처벌규정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이대로 방치할 경우 기업 경영으로 승부하기 보다는 머니게임을 통해 돈만 벌면 된다는 인식이 팽배해지고 결국 투자자들로부터 외면받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 회복조짐 증시에 물량부담 우려도
코스닥 등록기업이 급증할 경우 지난 99년ㆍ2000년처럼 시장에 과중한 물량 부담을 줘 주가상승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기 때문에 신규등록 기업의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등록기업 과다현상은 유상증자나 전환사채(CB)ㆍ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과 맞물리면서 코스닥의 수급기반을 위협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반면 코스닥 기업들은 덩치가 작아 등록자체가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말 현재 코스닥 시가총액은 60조4,825억원으로 거래소 (306조2,114억원)의 20%수준에 불과한 상태다.
따라서 코스닥에서 등돌린 외국인이나 기관투자가를 다시 끌어들이는 것도 수요기반 확충 차원에서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지금처럼 개미군단의 역량만으론 코스닥의 '화려한 부활'을 이루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증시 관계자들은 "코스닥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때 이대로 방치해서는 안된다"며 "시장감시와 거래제도등 내부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뜯어 고쳐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오현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