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정보기술(IT) 공공조달 시장에서 대기업이 전면 배제되면 각종 정보화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는가?
정부와 공공기관, 지자체 등 수요기관은 IT중소기업들이 계획된 사업을 정상적으로 마무리 지을 수 있는지에 대한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품질 확보가 가능할지 또한 걱정거리다.
전문가들은 국내 IT중소기업의 경쟁력이 상당수준에 있고 대기업 IT인력의 중소기업으로 이전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오히려 IT경쟁력을 크게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선진국에서처럼 사업기획 단계에서부터 사업추진 단계, 사업결과 평가단계 등에 이르기까지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ㆍ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출 경우 수요기관은 오히려 더욱 좋은 품질의 결과물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미국과 일본은 IT용역을 관리 지원해주는 시스템을 확보하고 있다. 내ㆍ외부 전문가로 공공정보화 사업관리 조직을 구성해 운영함으로써 문제의 소지를 사전 차단하거나 제거하고 있다.
우리처럼 중앙조달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미국 또한 대형 프로젝트의 잇따른 실패를 경험했다. 미국 국세청 업무시스템 현대화사업의 경우 8년간 20억달러를 투입하고 중단해야 했고 운동에너지 요격미사일 개발 프로젝트 또한 60억 달러를 소모한 채 폐지되기도 했다.
미국은 1980년 이후 ‘지원조달서비스’를 설립, 문제를 해결했다.
연방조달법에 근거한 계약전문가와 프로젝트 경영분야 자격증을 보유한 IT전문가를 확보해 운영 중이며 수요기관 기술진과 협력해 요구사항 정의, 제안요청서 작성 및 기술평가 등 프로젝트 관리를 전반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프로젝트 성공을 지원하고 있다.
일본은 개별 수요기관별로 IT용역을 발주해 계약하고 이를 추진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각 기관별로 PMO(Program Management Office)와 PJMO(Project Management Office)를 운영하고 있다. PMO는 기관내에서 집행하는 정보시스템 기획, 개발, 운용, 평가 등 업무를 총괄한다. PJMO는 개별 정보시스템의 기획, 개발, 운영 등을 담당한다.
조달청 또한 지난해부터 일부 IT용역계약 건에 대해 별도의 PMO 계약을 추진해 IT용역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하도록 했다. 금융권 또한 ‘차세대시스템개발’ 등에 PMO를 도입해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기도 하다.
고려대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이석주 교수는 “미국처럼 프로젝트 결과물이 다음 수주에 영향을 주도록 하고 잘한 업체에 대해서는 사업을 더 주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할 경우 향후 국내 IT공공조달시장에서 중소기업들이 좋은 품질의 성과물을 납품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