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남 진해지역 42.9㎢ 경제특구 추진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 방안 일환 신항만 개발이 진행중인 진해시 용원 및 웅동일대 해면부와 두동.마천지구 등 내륙을 포함해 경남 진해지역 42.9㎢(1천300만평)에 대해 경제특구 지정이 추진되고 있다. 10일 경남도에 따르면 정부의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 방안의 일환으로 수도권 서부에 이어 부산.경남 경제특구와 광양 경제특구 추진을 위해 재정경제부와 부산.경남.전남이 공동으로 서울대 공학연구소에 용역을 지난달 발주했다. 사업타당성에서부터 지정 규모, 입지시설 종류 등이 담길 용역안은 오는 12월말최종 보고될 예정이며 내년초 '경제특구 지정에 관한 법률'(가칭) 제정과 경제특구위원회 구성 등을 거쳐 빠르면 내년중 특구지정이 확정될 전망이다. 이 일정대로 특구가 진행될 경우 경남지역은 진해신항만 북항 일부가 준공되는오는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설입주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경남 경제특구에 대해 현재 부산시는 38.67㎢(1천171만평), 경남도는 42.9㎢(1천300만평) 지정을 요청해놓고 있으며 신항만을 공유하는 양 지역이 각각 비슷한 규모로 최종 지정될 것으로 도는 보고 있다. 경남지역은 해면부 10.2㎢(309만평)와 내륙부 32.72㎢(991만평) 등으로 해면부는 북항배후지역과 웅동.안골지구 등이, 내륙부는 두동.마천.남문지구와 보전용지등이 포함돼 있다. 용도별로는 신규개발지구 18.8㎢(569만평), 기개발지구 6.9㎢(210만평), 보전용지 17.2㎢(521만평)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정부는 수도권 서부인 송도신도시와 영종도 및 김포매립지 등을 특구로 우선 지정한 후 두번째로 부산.경남 경제특구를 지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도와 부산시는 지금까지 지역별 면적 등 특구지정 계획을 경쟁적으로 제각각 정부에 보고해왔으나 재경부 요청에 따라 단일안을 마련하기 위한 협의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부산.경남 경제특구는 지난 4월 건설교통부 주관으로 부산.진해 신항 중심 동남권 개발방안의 일환으로 추진되다 지난 5월 주관부서가 재경부로 넘어가면서 경남지역 면적이 3.3㎢로 거론됐고 지난 6월 10.2㎢, 지난 7월 다시 42.9㎢로 확대됐다. 경제특구는 공장이나 산업중심의 외자유치 개념인 외국인투자지역이나 수출자유지역과 달리 국제업무와 물류, 첨단산업 등 국제적인 기업활동을 수행하는 비즈니스활동의 거점으로 주거와 레저, 의료, 영어공용어 등 기업.생활환경이 종합적으로 조성된다. 또한 특구에서는 외국환거래가 자유롭게 허용되고 외국인 투자기업은 소득세와법인세 등 각종 조세가 대폭 감면되는 한편 내국인의 외국인학교 설립 및 입학이 허용되는 등 과감한 조치들이 도입될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부산.경남 경제특구는 이미 '유치'된 상태지만 지정 면적과 입지시설을 포함한 세부적인 내용은 용역결과가 나와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연합뉴스) 정학구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