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의료비 정부부담률 “후진국”/94년 9.6%

◎개도국 30%에 크게 못미쳐우리나라의 국민의료비 가운데 민간부담률이 71.5%이고 이중 가계의 직접 부담비율이 53.4%로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은 지난 85년부터 94년까지 국민의료비의 지출동향을 분석한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고 가계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4년 국민의료비는 16조3천3백86억원으로 이 가운데 정부(9.6%), 의료보험(17.4%), 산재보험(1.5%) 등 공공부문 부담액은 4조6천6백39억원으로 28.5%에 지나지 않았다. 민간부문의 지출은 11조6천7백47억원으로 전체의 71.5%를 부담했는데 이중 가계가 53.4%로 가장 많고 자동차 및 생명보험이 5.3%, 기타 재원이 12.7%였다. 또 94년의 전년대비 국민의료비 증가율은 13.9%였는데 증가분 가운데 정부의 기여도는 6.6%에 불과한 반면 민간이 65.8%, 보험이 27.7%를 각각 부담했다. 전국민의료보험제도가 도입된 지난 88년을 전후해 연도별로 살펴보아도 의료비를 민간부문, 특히 가계에 의존해온 구조적 특성이 달라지지 않았다. 이처럼 가계부담이 높은 것은 공공부문, 특히 정부 지출액이 적고 의료보험에서 환자의 본인부담률이 높고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항목이 매우 많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의료비 정부 부담률은 서구 국가(60%)들은 물론 개발도상국(30%)에 비해서도 크게 낮다.<신정섭>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