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광역 부단체장, 출신지역 상관없이 등용

행자부 신 인사운영 원칙 내놔

지역칸막이 없애 능력중심 배치

지자체간 순환보임도 늘리기로

7급 이하 지방 전입시험도 부활

중앙정부에서 내려가는 전국 광역시도 부단체장(부시장·부지사)들이 앞으로 특정 출신 지역에 상관없이 각 시도에 두루 등용된다. 또 부단체장으로서 능력을 인정받을 경우에는 여러 자치단체에서 순환 보임할 수 있게 된다.


행정자치부는 25일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속 직원의 자긍심과 성과를 높이기 위해 '신(新) 인사 운영 3대 원칙'과 이에 따른 10대 혁신방안을 내놓았다. 이는 지난달 안전행정부가 국민안전처와 인사혁신처 등으로 쪼개지면서 행자부로 조직이 변화된 데 따른 것이다. 행자부는 성과와 역량에 근거한 능력중심 인사, 소통과 배려가 있는 따뜻한 인사, 시스템에 근거한 과학적 인사를 3대 원칙으로 제시했다.

관련기사



우선 유능한 인재에 대해 출신 지역을 초월해 각 시도에서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현재 대부분이 각 지역 출신으로 국한돼 있는 광역 부단체장들에 대한 지역 칸막이를 없애기로 했다. 현재 전국 광역시도 부단체장 17명(서울시 제외, 경기도 2명) 가운데 14명이 해당 지역 출신으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행자부가 시도지사와의 협의를 거쳐 출신 지역에 상관없이 부단체장을 임명한다. 아울러 광역 자치단체 부단체장의 자치단체 간 순환보임도 활성화한다. 따라서 A도에서 부지사로 활동했던 공무원이 능력을 인정받을 경우에는 B도의 부지사로 중임돼 지방자치 노하우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앞장선다.

또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교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행자부 자체에서 진행하는 7급 이하 지방 전입시험을 부활시켜 지방 공무원의 중앙정부 영입을 확대하기로 했고 영어권 국외 훈련자 선발 때도 현행 어학과 근무평가가 7대3인 비율을 조정해 업무성과에 대한 가중치를 높이기로 했다.

정종섭 행자부 장관은 "지난달 조직개편으로 과거 행자부로의 회귀가 아니라 새롭게 탄생한 신생부처라는 인식을 구성원들이 갖는 게 중요하다"며 "국정운영을 효율적으로 뒷받침하는 튼튼한 조직을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