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소니해킹'에 사이버 보복 시사…"비가시적 대응"

미국 국무부는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해킹 사건과 관련한 후속대응 과정에서 가시적 대응 조치와 비가시적 대응조치를 혼용할 것임을 시사했다.


마리 하프 미국 국무부 부대변인은 22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후속대응 조치의 성격에 대한 질문에 “광범위한 옵션을 검토 중이며, 대응조치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일부는 눈에 보이고 일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다”고 답변했다. ‘사이버보복’ 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대응조치도 포함할 것임을 의미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하프 부대변인은 또 북한이 이번 해킹사건과 관련해 공동조사를 제안한 데 대해 “북한 정부는 오랫동안 파괴적이고 도발적인 행동에 대해 책임을 부정해왔다”며 “북한이 책임을 인정하고 자신들이 야기한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북한 정부가 파괴적인 이번 공격에 책임이 있다는 연방수사국(FBI)의 수사결과를 지지하고 신뢰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북한이 미국 본토 공격을 위협하고 있는데 대해 “우리는 미국 시민과 기업에 대한 어떤 위협도 심각하게 여긴다”며 “현재로서는 특별히 신뢰할만한 위협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전날 북한은 국방위원회 정책국 명의의 성명에서 미국이 근거없이 북한을 해킹 배후로 지목했다며 “오바마가 선포한 ‘비례성 대응’을 초월해 백악관과 펜타곤, 테러의 본거지인 미국 본토 전체를 겨냥한 초강경 대응전을 벌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프 부대변인은 중국 정부가 이번 해킹공격에 가담했는지에 대해 “중국을 포함한 다른 정부가 이번 공격에 관여했는지에 대해 아무런 증거가 없다”며 “미국과 중국은 분명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악의적인 사이버 행위가 국제평화와 안보에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미국은 중국에 사이버 안보와 관련한 협력을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중국의 컴퓨터 서버가 이번 공격에 이용됐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는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많은 풍문이 있지만 현시점에서는 다른 정부가 협력했는지에 관한 정보나 증거가 없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