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北核문제 UN서 논의” 한국에 타진

콜린 파월 미 국무부 장관은 18일 한일 양국에 대해 북한이 5자 회담을 수락하지 않을 경우 북한 핵문제를 유엔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개진한 것으로 알려졌다.윤영관(尹永寬) 외교통상부 장관은 이날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가진 한미 외무장관 회담에서 이 같은 입장을 전달받고 “ 핵 문제를 안보리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대화 국면의 전개를 보고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해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파월 장관은 이에 앞서 프놈펜으로 향하는 기내에서 “앞으로 수 주 내에서 북한 핵 문제에 대해 유엔이 행동을 취할지 결정될 것”이라고 말해 5자 회담이 무산될 경우 유엔의 대북제제를 추진할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이와 관련, 이수혁(李秀赫) 외교부 차관보는 “안보리 논의 시기를 본다는 차원이지 한미일 3국의 입장이 결정된 것은 아니며 미국도 그 점을 염두에 두면서 협의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파월 장관은 이날 ARF 외무장관 회의에 참석 중인 허종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와 조우, 3분간 의견을 나눴다고 미 정부의 고위관리가 밝혔다. 이 관계자는 “파월 장관이 먼저 `다자 회담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한미일 3국은 또 북한에 대한 다자회담 유인 차원에서 조만간 공동의 제안을 마련하기 위한 접촉을 갖기로 의견을 모았다. 윤 장관은 이날 한미, 한일 외무장관회담에서 “한미일 3국의 구체적 해결 방안 제안을 가지고 회담에 나선다면 북한이 다자회담에 응하도록 하는 중요한 유인책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프놈펜(캄보디아)=안준현기자, 최문선기자 oonsun@hk.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