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1세기 지역 신성장패러다임 모색ㆍ대전지역 세미나] ‘연구클러스터 구축’ 서둘러야

이날 포럼은 이창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신동호 한남대 교수의 주제발표에 이어 류상영 연세대 교수, 강현수 중부대 교수, 백종태 대덕밸리벤처연합회 회장, 이진옥 대전시 경제과학국장 등 4명이 열띤 토론에 나섰다. 패널들은 “대전시와 충청권의 경우 과학기술 및 R&D부문의 비교우위를 바탕으로 동북아 R&D거점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라며 “각종 생산지원서비스 강화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체계적 지원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함께 했다. 특히 국가균형발전위 전문위원으로 활동중이기도 한 강현수 교수는 “동북아 위원회와 국가균형위원회 사이에 목표가 상충되거나 갈등관계를 보이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어 역할조정이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지역균형발전차원에서 동북아 경제중심도시를 육성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현수 중부대 교수는 “대전권이 동북아 비즈니스 거점이 되기 위해서는 우선 동북아 지역내 상호신뢰 및 공동체 의식제고가 필요하다”면서 “무엇보다 남북관계 개선과 평화적 교류확대를 통한 전쟁위험 감소 및 동북아 긴장해소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교수는 “중앙정부가 위로부터 특구를 지정하는 하향식 방식 대신 분권을 통해 각 지자체에 확실하게 권한과 재정을 이양해 각 지자체가 자신의 실정에 맞게 지역 맞춤형 경제발전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현재 청와대가 추진중인 `동북아 위원회`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사이에 그 목표가 상충되거나 갈등관계를 보이는 사례까지 나타나 국가균형발전을 무시하고 수도권 집중을 가속화 시키는 각종 정책이 양산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덕밸리의 R&D거점도시 육성과 관련, 대덕밸리의 R&D수준에 대응되는 기술집약적 생산기업, 특히 대기업이나 초국적 기업의 생산시설 입지가 필요하며 금융ㆍ마케팅ㆍ법률ㆍ기타 기업컨설팅 등 각종 생산지원 서비스 부문의 기능이 강화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동북아 경제중심 추진위 전문위원인 류상영 연세대 교수는 “경제중심의 실현은 외국자본에 대한 인센티브의 양 확대만으로는 불가능하다”며 “규제완화와 각종 인센티브의 제공, 고급인력 공급, 개방성을 갖춘 국제수준의 문화, 상호 협력하는 노사관계 등 선진 인프라 구축이 선결과제”라고 강조했다. 류 교수는 “국내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간 경쟁을 유도하는 동시에 지역적 특색을 갖춘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대전지역의 경우 R&D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연구클러스터 조성이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대덕밸리 벤처연합회 백종태 회장은 “지식기반산업에서 비즈니스 및 국가경제의 핵심은 R&D”라며 “물류, 금융, R&D가 상호 조화를 이룰 때 국가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 회장은 “물류와 금융부문은 경제성장의 과실이라는 외생적 특징이 있고 R&D부분은 내생적 성장엔진으로 이들은 국가 경쟁력 강화의 세 중심축”이라며 “R&D 거점화를 통한 내생적 성장엔진을 확고히 하는 패러다임 확립으로 한국경제 선진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우선 도모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진옥 대전시 경제과학국장은 “대덕연구단지의 첨단기술을 산업화시켜 첨단벤처도시를 만듦으로써 대전의 경제발전을 도모하고 있다”며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한 중소ㆍ벤처기업의 기업활동 지원을 위한 다양한 시책을 개발하고 시행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 국장은 “대전의 경우 대덕밸리를 중심으로 우수한 인프라가 구축돼 있는 상태이며 다양한 혁신네트워크가 형성 중에 있다”며 “기관ㆍ기업간 기술ㆍ정보교류의 활성화 및 토지이용규제 완화 등을 통해 왕성한 생산활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대전=박희윤 기자 hypark@sed.co.kr>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