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 대생인수 포기 가능성 시사한화 "뒤늦게 자격시비 국내기업 역차별"
대한생명 인수와 관련해 수개월동안 침묵으로 일관했던 한화가 드디어 정부를 상대로 포문을 열었다. 한화측은 "정부가 원칙을 뒤집어 자격시비와 가격논쟁이 계속될 경우 인수 계획을 철회할 수 있다"고 밝히는 등 그간의 모습과는 다른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다.
한화가 그동안 금융업을 그룹의 핵심사업으로 키우겠다고 누누이 강조해 온 점을 감안하면 27일 발표는 '엄포용'으로 해석될 소지도 있지만 상황이 악화될 경우 일본 오릭스, 호주 맥쿼리 등 컨소시엄 구성원들의 비토로 '판'이 깨져버릴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이제 남은 기간은 기껏해야 두달 정도. 메릴린치가 대생의 지난 3월말 결산 실적을 토대로 재평가한 기업가치로 가격 협상을 다시 벌인 후에도 잡음이 끊이지 않는다면 대생 매각은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간다.
▶ 한화 "국내기업 역차별이다"
한화는 정부가 관여하는 국제경쟁입찰에서 뒤늦게 인수자격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거나 기준을 바꾸는 등의 행태는 국내기업이 포함된 컨소시엄에 대한 역차별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특히 인수자격문제는 이미 인수제안서를 제출하고 심의를 거쳐 이의제기없이 통과됐는데도 불구, 이제 와서 이 문제를 들고 나오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가치산정도 마찬가지. 예금보험공사와 당초 2001년 3월말 기준을 2001년 9월말로 합의한 것을 다시 2002년 3월말로 바꾸겠다는 것은 근거가 없음은 물론 국제경쟁입찰의 관행을 무시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종석 한화 부회장은 "입찰경쟁자였던 메트라이프와 협상을 했다면 과연 이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겠는가. 공자위 매각소위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한화는 오는 6월까지 공자위가 입장을 바꾸지 않을 경우 이번 입찰을 포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화는 지난 21일 예보에 공식항의문서를 통해 이 같은 의견을 전달했으며, 앞으로 공자위의 일방적인 주장이 수정되지 않을 경우 입찰을 포기하는 것은 물론 예보에 법적인 책임문제를 묻는 방안도 컨소시엄 차원에서 검토할 예정이다.
◇매각소위 "제값 받아야"한 목소리=한화의 강경한 입장은 공자위 산하 매각소위원회에서 자격 시비와 헐값 매각이라는 지적이 계속되면서 본 계약 체결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취해졌다. 매각소위의 계산은 "제대로 값을 받겠다"는 것. 매각소위 관계자는 "매각이 지연될수록 기업가치가 떨어지는 회사가 있는 반면 높아지는 회사가 있는데 대생은 후자"라며 "메릴린치의 기업가치 재평가 결과가 나오는 6월말 이후 매각 가격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3월 결산에서 8,000억원이 넘는 이익을 낸 회사를 1조1,000억원에 팔아치우는 것은 매각소위 입장에서는 부담스럽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대생에 3조5,500억원 이라는 거액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만큼, 가격 협상 후 기업가치를 다시 평가하는 등 국제 관행을 무시하더라도 받을 수 있을 만큼 받아내야 한다게 매각소위 구성원들의 일치된 견해다.
◇7월 매각가격 재협상이 관건 =그러나 적정가격이외에 인수 자격에 대해서는 매각소위 구성원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고 이는 대생의 향후 처리 방향과도 무관하지 않다.
일부 위원들은 한화가 과거 부실금융기관이었던 한화종금의 대주주였음을 강조하며 자격 적정성 시비에 불을 붙이고 있다. 특히 이들은 한화와의 협상이 최종 결렬될 경우 ▦제3의 원매자를 찾거나 ▦상장후 정부 보유지분 매각을 통한 공적자금 회수 등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다른 위원들은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다. 이제와서 다른 원매자를 찾는 것이 불가능한 일일 뿐 아니라 정부가 생보사 상장기준을 만들더라도 대생의 경우 상장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최소한 3년을 기다려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
매각소위 한 관계자는 "매각소위에서는 가격 적정성만을 따질 뿐이지 자격까지 문제삼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며 "한화의 경영능력이 걱정되면 매각후에도 49%의 지분이 정부측에 남게 되는 만큼 정부측에서 이사를 파견하는 등의 조건을 내세우면 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그는 또 "자격여부를 따져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매각소위 위원들간 합의를 본 것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조영주기자yjcho@sed.co.kr
박태준기자
조영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