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롯데맥주 연착륙까진 산 너머 산

오비·하이트 양강체제 돌파

'카스처럼' 용어 극복도 과제

롯데의 자신감과 달리 맥주시장 연착륙을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무엇보다 80년간 고착화된 오비맥주와 하이트진로의 양강 체제를 무너뜨려야 한다. 맥주 시장은 60대40으로 양분돼 있다. 또 지난해부터 수입 맥주가 쏟아지고 있고, 신세계 등 대기업이 신규 진출을 꾀하고 있다는 점도 극복 과제다.


맥주업계 고위 관계자는 "롯데의 숙제는 카스나 하이트에 익숙한 소비자를 어떻게 클라우드로 끌어들이느냐"라며 "유통망을 가졌지만 단기간에 브랜드 각인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폭탄주 시장에서 고유명사로 굳어진 '카스처럼'이란 용어도 고민거리다. 오비맥주의 '카스'와 롯데주류의 '처음처럼'이 합쳐진 '카스처럼'이란 말은 폭탄주 문화가 일반적인 주류시장에서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다. 롯데는 지금까지 소주 매출 확대를 위해 '카스처럼'을 구전 마케팅으로 효과있게 사용했지만 클라우드가 나온 만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뿐더러 오히려 부메랑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또 다른 맥주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음식점에서 '카스처럼'으로 주문하는 경우가 상당수"라며 "이미 굳어진 문화를 없애기보다는 클라우드를 다른 시장으로 보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