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기 위축 걱정된다

경기위축세가 가파라지고 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9월중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생산과 내수 수출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본격적인 경기후퇴의 조짐인지는 시간을 두고 판단할 일이지만 이 같은 하락세가 급격해진 것은 아무래도 좋은 징후는 아니다. 특히 수출증가율이 크게 떨어진 것은 무엇보다 우려되는 대목이다. 우선 생산은 7~8월의 8%선에서 9월에는 3.4%로 절반아래로 떨어졌다. 반도체의 생산 증가가 없었더라면 생산은 마이너스로 전락할뻔 했다. 자동차의 생산감소는 특히 두드러져 전달의 12.8%에서 -5.4%로 곤두박질 쳤다. 이에 따라 제조업 가동률도 전달의 77%에서 74.6%로 크게 낮아졌다. 지난 4월부터 회복세를 보이던 수출이 7~8월의 두자릿수 증가에서 9월에는 8.2%증가에 그친 것도 좋지않은 조짐이다. 소비의 경우 가장 중요한 지표인 도소매 판매가 전달의 6%대에서 절반 이하인 2.9%로 떨어졌다. 지난달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에서도 소비자들은 향후경기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계획 등에서 하나같이 부정적으로 전망한 것으로 나타났었다. 이 같은 생산 및 소비의 위축에 대해 통계청은 9월에는 추석이 끼어 있었다는 계절적 요인을 지적하고 있다. 추석이 생산감소에는 다소간 영향이 있었을 지라도 소비쪽은 오히려 촉진 효과가 있었을 것임을 감안한다면 소비의 위축은 주시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소비는 그동안 경기 회복을 주도해 왔다. 정부 정책도 재정지출의 확대, 저금리정책 등 소비를 촉진, 경기를 일으키는 정책을 추진해 왔다. 그것이 가계의 부실화와 부동산 시장의 거품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해 오히려 가계부실로 인한 새로운 형태의 경제위기를 불러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진 단계에 이르렀다. 소비위축은 얼마간 예상된 것이며, 소비에서 거품을 제거하는 것은 정책의 우선과제가 되어야 할 때가 됐다. 그 같은 정책적 노력의 결과로 나타난 소비감소라고 하더라도 소비가 과도하게 위축되면 디플레이션으로 빠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될 수 있다. 소비확대를 통한 경기진작은 이제 한계에 이르렀다고는 하지만 생산을 자극할 만큼의 적정한 소비를 유지하는 정책은 계속돼야 한다. 그런 중에서도 한 가지 안도되는 것은 투자가 두달 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선행지수가 미미하나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것으로 우리 경제의 앞날을 낙관하기에는 국내외적인 경제 여건이 너무 불투명하다. 일각에서 얘기 하듯이 구조적인 경기둔화의 흐름에 빠져드는 게 아닌지 주시하고 투자와 수출증대 등 대응책을 준비해야 할 때다. document.write(ad_script1); ▲Top | | ||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