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한진重서 돛 올린 정동영號...교섭단체·협치·지지율회복이 관건

첫 행보, 현충원 아닌 민생현장

鄭 "현장 1등정당으로 지지율 극복"

정동영(가운데) 민주평화당 대표가 6일 오전 부산 영도구 금속노조 한진중공업 지부를 방문해 차해도(왼쪽) 지회장의 안내를 받으며 관계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부산=연합뉴스정동영(가운데) 민주평화당 대표가 6일 오전 부산 영도구 금속노조 한진중공업 지부를 방문해 차해도(왼쪽) 지회장의 안내를 받으며 관계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부산=연합뉴스



정동영 신임 민주평화당 대표는 6일 첫 행보로 부산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를 찾았다. 이곳은 지난 2011년 이명박 정권 당시 정 대표가 대량해고 사태를 겪은 노조원을 응원하기 위해 방문했다가 최루액을 맞은 장소다. 통상 첫 행보로 국립현충원을 찾는 신임 당 대표의 행보와 달리 정 대표가 노동현장을 찾은 것은 벼랑 끝에 몰린 당의 상황 때문이다. 평화당은 창당 이후 1~3%대의 낮은 지지율을 극복하지 못한 채 6·13지방선거에서 참패했다. 정 대표는 영도조선소에서 진행한 제1차 최고위원회의에서 “여의도에 머물러서는 제4당에 머물 수밖에 없고 현장을 달려가는 정당, 현장 1등 정당이 될 때 1등 정당이 될 수 있다”고 지지율 반등 의지를 다졌다.


후반기 국정 최대 이슈인 ‘협치’와 ‘개혁입법연대’ 정국에서 정부 여당과의 대여 관계 설정을 잘 못할 경우 격랑에 휩쓸릴 수 있다. 정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선거제도 개혁은 문 대통령의 철학이기도 하고 평화당이 앞장설 테니 대통령도 성원해줬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드렸다”며 강경한 태도를 유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저는 이미 몇 차례 선거제도 개혁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고 그 내용을 개헌안에 담았다”며 “정치개혁은 여야 합의가 관례이니 국회의 뜻을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협치정국이 본격화하면 정 대표는 진퇴양난에 처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거점인 호남에서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정부 여당과 긴장관계를 유지하면 ‘수구세력’으로 몰려 지지층이 이탈할 위험이 있고 적극적으로 협조할 경우 ‘정부 여당 2중대’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이 같은 상황으로 평화당은 전당대회 전부터 대여 관계 설정을 놓고 갑론을박을 벌여왔다. 고(故) 노회찬 의원의 유고로 상실한 정의당과의 공동교섭단체 회복도 정 대표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비교섭단체는 국회 내에서 ‘패싱’당할 가능성이 커 당의 목소리를 개진하기가 어렵다. 실제 공동교섭단체 상실로 평화당은 8월 국회를 앞두고 원내교섭단체 회동 참석 등이 불가능해지는 등 정치권에서 존재감이 점차 줄고 있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