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감사대란 우려 현실화에…조율 나선 금융당국

금융위, 이해관계자 불러 회의

한미약품 연결 여부 등 갈등에

의견 불일치 조율절차 홍보 요청

재계"감리 대신 계도 중심 감독을"




회계개혁에 따른 상장사 비적정 감사의견 증가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금융 당국이 이해 관계자들에게 혼란 최소화에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감사보고서 제출을 50일 가까이 앞둔 상황에서 감사를 맡은 회계법인과 피감기업 간 의견 충돌이 벌써 가시화하는 등 비적정 감사의견 급증의 기미가 감지되자 선제조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위원회는 3일 제4차 회계개혁 정착지원단 회의를 열고 기업들이 전·당기감사인 간 의견 불일치 조율절차를 충분히 숙지해 실질적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한국상장회사협의회·코스닥협회 등에 적극 홍보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앞서 전·당기 감사인 간 의견 불일치가 발생할 때 한국공인회계사회를 중심으로 제3자가 참여해 의견조율을 하도록 한 바 있다. 이날 회의에는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한국공인회계사회·회계기준원· 한국상장회사협의회·코스닥협회·금융투자협회 등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금융위가 이해관계자를 불러모아 회의를 연 것은 비적정 감사의견 급증에 따른 혼란을 막기 위해서다. 재계에서는 지난해 사업연도 감사보고서 제출을 앞두고 회계법인 의견 보수화에 따른 감사대란을 우려하고 있다. 이미 이 같은 기미도 감지된다. 지난달 말 열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질의회신연석회의’에서는 한영회계법인이 제출한 한미사이언스의 연결대상 범위와 관련한 질의서를 심의했다. 한미사이언스의 감사인인 한영회계법인은 주요 자회사인 한미약품을 연결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갑작스레 재무제표를 뒤집어엎게 생긴 한미사이언스가 이에 난색을 표하며 연석회의에 판단을 맡겼다. 연석회의가 연결대상 여부에 대해 개별 기업의 자율성을 존중하라고 회신하며 한미사이언스는 한숨 돌리게 됐지만 재계에서는 한영의 질의가 감사와 관련해 기업과 감사인 간 갈등을 단적으로 드러낸 사례로 평가하고 있다. 회계기준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회계기준원에는 새해 들어 200개가 넘는 신속처리 질의가 쏟아진 상태다. 금융위는 “감사인의 보수적인 접근은 기존에도 발생했으나 회계기준원 등이 중심이 돼 회계처리기준 질의회신에 적극적으로 나서 관련 갈등을 최소화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서 재계는 상장기업 감사 보수공시와 내부회계관리제도, 표준감사시간 등과 관련해서도 제도 개선을 요청했다. 특히 올해부터 검토에서 감사로 상향되는 내부회계관리제도 감리와 관련해서는 시장의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당분간 계도 중심으로 감독에 나서 달라는 의견을 전달했다. 금감원은 감사인 지정 기업의 감사계약 체결 동향과 감사인 등록현황을 보고했다. 금감원이 올해 사업연도부터 새로 감사인을 지정한 상장사 823개사(주기적 지정제 220개사, 직권지정 603개사, 중복제외) 중 98.7%인 812개사와 감사계약을 체결했고 지난해까지 등록한 37개 회계법인에 정인·한길 회계법인을 더해 총 39개 회계법인이 상장사 감사인으로 등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