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劉 제안에 黃 화답…속도 내는 보수통합 열차

신설 합당 수임기구 조만간 출범

한국당 13일 전국위서 합당 의결

황교안·유승민 양자회동 지연

'흡수통합' 논란 불식은 과제로

1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통합신당준비위원회 회의에서 박형준(왼쪽) 공동위원장이 이날 처음으로 회의에 참석한 정병국 공동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1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통합신당준비위원회 회의에서 박형준(왼쪽) 공동위원장이 이날 처음으로 회의에 참석한 정병국 공동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새로운보수당이 ‘당 대 당’ 신설 합당에 뜻을 같이하면서 보수 대통합에 속도가 붙고 있다. ‘신설 합당을 추진하자’는 유승민 새보수당 의원의 제안에 황교안 한국당 대표가 화답한 데 따라 신설 합당 수임 기구 설립 추진 등 보수 대통합을 위한 ‘밑그림’이 그려지고 있는 셈이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국당·새보수당·미래를향한전진4.0 등 원내 정당들은 조만간 신설 합당 수임 기구를 출범한다. 이는 신설 합당 추진을 위한 실무적 과정 등 법적 절차를 논의하는 곳이다. 한국당은 수임 기구에 김상훈·송언석 의원을 보낼 예정이다. 새보수당도 곧 수임 기구 참여 인사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한국당은 오는 13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신설 합당 추진을 위한 의결 절차를 밟는다. 안건은 전국위 의장·부의장 선출과 함께 합당 결의안 등이다. 전국위 의결로 정당 사이 합당이 공식 인준되면 합당 논의는 통합 수임 기관으로 넘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통합신당준비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통합 신당의 이름을 ‘대통합신당’으로 잠정 합의했다. 이는 앞으로 한국당·새보수당 내 협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방침이다. 통준위는 이와 함께 통합 신당의 당헌과 정강·정책에 대해서도 합의했다. 이들 정당은 그동안 ‘반(反)문 연대를 위해 뭉쳐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으나 추진에는 속도를 내지 못했다. 통합 등을 두고 의견이 다소 엇갈린 탓이다. 그러나 유 의원이 총선 불출마와 함께 신설 합당을 제의하면서 교착 상태에 빠졌던 야권 통합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관련기사



다만 일각에서는 보수 대통합이 속도를 내고 있으나 결실을 보기까지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관측도 적지 않다. 황 대표와 유 의원은 보수 대통합에 뜻을 같이하고 있으나 여전히 양자 회동은 이뤄지지 않았다. 게다가 공천을 두고도 각 당 사이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있을 통합 신당 공천 과정이 자칫 각 당의 ‘잇속 차리기’로 변질되면 총선을 치르기도 전에 불협화음만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유 의원이 9일 기자회견에서 신설 합당이 ‘도로친박당’이나 ‘도로친이당’이 되는 것을 경계한 발언을 한 점도 이와 연관이 깊다. 새보수당 통준위 공동위원장으로 선임된 정병국 의원도 이날 통준위 회의에서 “가치를 내세웠던 바른정당은 선거를 150일, 바른미래당은 120일 앞두고 통합했지만 선거에 매몰돼 계파와 패권으로 종식했다”며 “이 실패를 답습하지 않으려면 새보수당이 제안한 3대 원칙, 한국당과 범 중도가 동의한 6개 원칙 기조를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합 이후 공천 과정에서 계파·패권 싸움 등 각 당이 이권 나누기에 몰두할 경우 총선 승리보다는 패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이를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야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한국당 중심의 ‘흡수 통합’에 대해 여전한 경계심을 불식하는 부분도 신설 합당 과정에 놓인 과제로 꼽힌다. 이혜훈 새보수당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흡수 합당은 A당이 당명과 틀 등을 그대로 한 채로 B당을 흡수하는 것으로, 이에 반대한다”며 “신설 합당은 A당과 B당이 새로운 당에 들어가는 것으로 유 의원의 요구가 어느 정도 지켜지는지에 따라 향후 (유 의원의) 선거 유세 지원 여부 등이 달라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