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시간 24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31.61포인트(3.56%) 폭락한 2만7,960.80에서 거래됐다. 다우지수는 장중 한때 1,079포인트 이상 내리며 불안한 장세를 보이다 결국 지난 2018년 2월 이후 가장 큰 낙폭으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11.86포인트(3.35%) 추락한 3,225.8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355.31포인트(3.71%) 떨어진 9,221.28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의 패닉은 중국 외 국가에서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큰 폭으로 늘어나며 각국 간 이동이 제한되는 등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가 주요 제조업 국가에서 확산하면서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가 높아져 미국 주요 주가지수가 급락했다”며 “한국과 일본, 이탈리아에서 지역사회 감염에 의한 확진자수가 빠르게 증가한 가운데, 특히 이탈리아 확진자 대부분이 경제도시 밀라노가 속한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아주에 거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기업이익이 하향 조정된 것도 주요 지수 하락의 원인”이라며 “경기 우려가 높아지면서 경제 성장률 전망이 하향 조정되고, 이익전망 역시 하향 조정 중”이라고 언급했다. 김 연구원은 또한 “올 들어 단기국채 매입과 레포 입찰을 통한 유동성 공급 속도가 둔화되며 밸류에이션 멀티플 상승이 지속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돼 밸류에이션 멀티플 상승세가 강했던 업종을 중심으로 매도세 출회 중이고, 미국 대선과 관련해 블룸버그 전 뉴욕 시장이 부진하고 샌더스 상원의원이 부상하고 있는 것도 증시 조정을 유발하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25일 국내 증시는 전일에 이어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한국 내 확진자 급증으로 내수가 위축돼 투자심리에 영향을 줬다는 점과 다우 지수가 현지시간 24일 1,000pt 넘게 급락하며 공포심리가 글로벌로 확산했다는 점 등 변화요인을 고려하면 오늘 한국 증시는 조정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서 연구원은 특히 “최근 조정이 단순히 코로나 이슈만으로 해석하기에는 조정폭이 크다”며 “코로나19 이슈보다는 그동안 시장이 우려했던 높은 밸류에이션 부분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글로벌 주식시장에서는 최근 그동안 상승폭이 컸던 업종 및 종목 위주로 매물이 출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이를 감안할 때 최악의 경우 한국 증시는 1,960선까지 열려있다고 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서 연구원은 다만 “최근 한국 기업이익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코로나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급증하지 않는다면 2,000선을 하회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오늘 국내 증시는 하락 출발 후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을 축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투자전략으로는 ‘관망보다 매수에 주력하라’는 조언이 나왔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현 지수 레벨에선 부화뇌동격 투매보단 보유, 실익 없는 관망보단 매수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며 “투자전략 초점은 중국보단 미국, 시장보단 종목 대안 압축대응에 집중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이어 “소거법을 통해 관련 아이디어를 찾으면, 반도체에서 비반도체로의 매기가 확산하는 ‘IT’와 배당 및 밸류 플레이가 이뤄지는 ‘자동차’, 수출 소비재와 관련 리스크 안전지대인 ‘S/W 및 바이오 대형주’ 등이 부합한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코로나 확산이나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 등이 국내외 매크로 환경의 와해적 상황변화를 유인하는 것이 아니라면, 코스피 바닥은 2,050선에 준할 것”이라면서도 “코로나19 관련 극도의 공포감이 시장 투자가의 비이성적 대응으로 추가 심화하는 경우라면, ‘R의 공포’와 ‘G2 무역전쟁’ 우려가 결합했던 2019년 8월 당시 수준인 코스피 1,950선까지 추가 언더슈팅이 불가피해 아직 센티멘털 바닥을 속단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wown93@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