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적극 규제혁파 '스마트뉴딜'로 新 4차산업혁명 파고 넘어야"

[포스트 코로나19-경제연구원장 긴급진단]

'공유경제' 타다 등 신산업 놓고

더 이상 이전투구 되풀이 안돼

적자생존 기업 도약 환경 마련

주52시간 등 노동개혁도 시급

신종 코로나 바이로서 감염증(코로나 19) 확산으로 택배 물량이 급증한 가운데, 최근 서울 시내의 한 택배 물류센터에 택배가 수북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신종 코로나 바이로서 감염증(코로나 19) 확산으로 택배 물량이 급증한 가운데, 최근 서울 시내의 한 택배 물류센터에 택배가 수북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글로벌 경제와 산업에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경제연구원장들이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 이후(포스트 코로나)’ 전 세계에 새로운 형태의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미래 산업 변화에 정통한 이들은 온라인 쇼핑과 수업·화상회의 등 ‘언택트(비접촉) 경제’ 활성화에 ‘스마트 뉴딜’을 제안하면서 주52시간 근로제 예외 등 기업 규제의 적극적인 혁파를 촉구했다. ★관련기사 5면


장윤종 포스코경영연구원장은 12일 “지금까지 이어진 4차 산업혁명이 코로나19 이후 또 다른 형태로 진행될 것”이라며 “‘타다’로 대표되는 공유경제나 원격진료 같은 첨단의료 서비스가 코로나 이전에 나타났던 이전투구 양상에 묻히는 일이 재발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장 원장은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고 살아남은 기업들을 중심으로 새 출발을 하려면 기업들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경영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김영민 LG경제연구원장도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 경제의 수요 둔화는 더욱 심화할 것이고 소비형태 자체도 변화할 것”이라면서 “비대면·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됐는데 정부가 성장할 수 있는 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스마트 뉴딜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손상호 금융연구원장도 “코로나19 이후 혁신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한편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로나 이후 신(新)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려면 규제 완화가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코로나19가 끝나도 무너진 글로벌 공급망이 한꺼번에 복구되지는 않을 것” 이라며 “적어도 회복기에는 주 52시간 예외 방안을 빨리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형마트 의무휴업제, 화평법(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완화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원장도 “근본적으로 노동개혁과 규제개혁을 통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상대적으로 덜 발달된 서비스 산업을 육성해 내수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재영·조지원기자 jyhan@sedaily.com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