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檢, 세월호 6주기에 특조위 부위원장 소환…본격조사 들어갈듯

조대환 출석…조사방해 의혹 규명

김기춘·김재원·조윤선 등도 소환되나

이석태(왼쪽)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 위원장, 조대환 부위원장. /연합뉴스이석태(왼쪽)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 위원장, 조대환 부위원장. /연합뉴스



세월호 6주기를 맞은 16일 검찰은 전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 부위원장을 소환해 조사에 들어갔다. 선거철에 정치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검찰의 세월호 진상조사 방해 의혹 규명이 총선 다음 날이자 세월호 6주기인 이날 주요인물로 소환으로 신호탄을 날린 것으로 풀이된다.

세월호 참사 특별수사단(단장 임관혁 서울고검 검사)은 이날 오전 9시20분께 조대환 전 특조위 부위원장을 피고발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검찰은 특조위 구성과 활동기간 축소, 예산삭감 등을 비롯한 특조위 활동 전반에 청와대 입김이 작용했는지를 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2015년 1월 특조위 설립 준비 단계서 해양수산부 파견 공무원 3명에게 복귀를 지시한 경위도 조사했다.


조 전 부위원장은 2014년 당시 여당인 새누리당 추천으로 특조위원이 됐다. 이후 특조위가 정치적으로 편향됐다며 이석태 위원장의 사퇴와 특조위 해체를 주장하다가 자진사퇴했다. 2016년 12월 탄핵정국 때는 박근혜 대통령 청와대의 마지막 민정수석으로 지냈다.

관련기사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는 조 전 부위원장이 당시 여권과 함께 특조위 활동을 조직적으로 방해하고 강제 해산시켰다며 검찰에 두 번 고발했다.

이외에도 전 여권 인사들 중 일부는 검찰이 추후 소환할 것으로 보인다. 가족협의회가 같이 고발한 당시 여권 인사는 김재원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 김기춘·이병기 전 대통령 비서실장, 조윤선·현기환 전 정무수석, 박근혜 전 대통령 등이다. 검찰 관계자는 “사건 관계인의 출석 일정은 사전에 알려줄 수 없지만, 조사를 받으러 오고 귀가한 후에 규정에 따라 알리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검찰은 세월호 의혹 규명을 위해 대통령기록관을 약 일주일 동안 압수수색했다. 검찰에 따르면 특수단은 지난 7일부터 14일 세종시에 있는 대통령기록관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검찰은 서울고등법원장의 영장을 발부받아 대통령기록관 협조를 통해 대통령기록물을 열람, 사본화 했다.


손구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