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완장 차라고 총선 때 표 몰아준 게 아니다

여당이 4·15총선에서 압승한 후 여권 인사들의 오만과 막말이 도를 넘고 있다. 열린민주당 비례대표로 당선된 최강욱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은 선거 사흘 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윤석열 검찰총장이 이끄는 검찰을 겨냥해 “세상이 바뀌었다는 것을 확실히 느끼도록 갚아주겠다”는 글을 올렸다. 같은 당 황희석 비례대표 후보도 SNS에서 “칼춤을 추고 있는 망나니들을 정리하는 게 586세대의 마지막 소임”이라며 검찰을 비난했다. 내뱉는 말마다 적의가 들어 있어 섬뜩하다. 친문 성향이 강한 황운하·김용민·김남국 당선자 등도 검찰 공격에 가담했다.


개헌 빼고 못할 것이 없을 정도로 압도적 다수 의석을 얻었으니 ‘완장’을 찬 듯 위세를 부려도 된다는 식으로 비칠 수 있다. 이들은 청와대의 울산시장 선거 개입 의혹과 라임·신라젠 비리 등 권력 개입 의혹이 제기된 사건들에 대한 검찰 수사를 방해하려는 의도를 가졌을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그러나 다수 국민들은 이들이 이런 말을 할 자격이 있는지 묻고 있다. 최 당선자는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이 윤 총장을 임명할 때는 인사검증 담당자로서 ‘윤 총장 가족 혐의’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보고했었다. 하지만 검찰 수사가 청와대를 겨냥하자 윤 총장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수사 대상 1호라고 주장하면서 압박하고 있다. 최 당선자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아들에게 허위 인턴증명서를 발급한 혐의로 기소돼 21일 첫 재판을 받는다. 황 당선자도 울산시장 선거 개입에 연루된 혐의로 기소돼 이번주부터 재판을 받게 된다.

관련기사



국민이 총선에서 표를 몰아줘 여당이 압승했지만 그렇다고 여권 일부 인사들의 불법 의혹에 면죄부를 준 것은 아니다. 여권 인사들이 과욕을 부린다면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우려처럼 ‘열린우리당의 아픔’이 재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검찰은 압력에 굴하지 말고 성역 없이 철저하게 권력형 비리 의혹 사건을 수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