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31년만에 취재 관련 언론사 압수수색.. 채널A ‘검언유착 의혹’ 밝힐까

이른바 검언유착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종합편성채널 채널A 본사를 압수수색하며 강제수사에 본격 착수한 28일 서울 종로구 채널A 앞./연합뉴스이른바 검언유착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종합편성채널 채널A 본사를 압수수색하며 강제수사에 본격 착수한 28일 서울 종로구 채널A 앞./연합뉴스



검찰이 종합편성채널 채널A 본사를 압수수색하면서 ‘채널A-검사 유착 의혹’에 대한 강제수사를 개시했다. 검찰이 취재와 관련해 언론사 압수수색을 진행한 것은 31년만이다.

28일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정진웅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에 있는 동아일보 사옥 내 채널A 본사 등지에 검사와 수사관들을 보내 채널A의 신라젠 의혹 취재 관련 자료 확보를 시도했다. 채널A 측은 구체적인 압수수색 대상과 범위를 확인해가며 협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채널A 본사 외에도 이모 기자와 백모 기자 등 취재기자 2명의 주거지 등 총 5곳을 압수수색했다. 의혹을 처음 보도한 MBC와 제보자 지모(55)씨, 유착 당사자로 지목된 검찰 관계자, 이 기자가 편지를 보내 취재 협조를 요청한 이철(55·수감 중) 전 밸류인베스트코리아(VIK) 대표의 구치소 수용거실 등은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관련기사



이른바 검언유착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종합편성채널 채널A 본사를 압수수색하며 강제수사에 본격 착수한 28일 서울 종로구 채널A 앞에서 취재진이 대기하고 있다./연합뉴스이른바 검언유착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종합편성채널 채널A 본사를 압수수색하며 강제수사에 본격 착수한 28일 서울 종로구 채널A 앞에서 취재진이 대기하고 있다./연합뉴스


취재와 관련해 언론사 압수수색이 이뤄진 것은 지난 1989년 안전기획부가 서경원 의원 평화민주당 의원 방북 건을 취재한 한겨레신문 편집국을 압수수색한 이래 사실상 31년 만이다.

이후에도 언론사 압수수색 시도는 여러 차례 있었으나 대부분 무산됐다. 2003년에는 청와대 부속실장 향응 장면을 몰래카메라 영상으로 보도한 SBS에 대한 압수수색 시도가 있었으나 기자들의 저항으로 불발됐다. 2007년에는 옛 중앙정보부가 작성한 최태민 목사 관련 보고서 유출·보도와 관련한 월간 신동아 기자의 전자우편 계정을 압수수색이 시도에 그쳤다. 2008년 광우병 보도 관련 MBC 압수수색, 2018년에는 ‘드루킹 사건’을 관련 TV조선 보도본부 압수수색 등이 기자 저항에 막혔다.

이번 검언유착 의혹은 지난달 31일 MBC의 보도로 불거졌다. 이 기자가 신라젠 의혹을 취재하던 중 검찰 고위 간부와 친분을 이용해 이 전 대표 측에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비리 의혹을 제보하라”며 협박성 취재를 했다는 내용이 골자였다. 이 과정에서 지씨 등은 이 기자가 윤석열 검찰총장의 핵심 측근인 A 검사장과 통화녹음을 들려주며 취재 협조를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은 지난 7일 이 기자와 ‘성명 불상의 검사’를 협박 등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