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미, 코로나19 백신 연구 표적삼은 중국인 해커 2명 기소

중국 국가안전부 연계해 10여년간 광범위 해킹혐의…“피해 수억불 규모”

미 법무부 청사 위로 휘날리는 성조기 /AP연합뉴스미 법무부 청사 위로 휘날리는 성조기 /AP연합뉴스



미국 법무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 관련 정보를 비롯해 각종 기업정보를 10여년간 표적 삼은 혐의로 중국인 2명을 기소했다.

이들은 중국 국가안전부(MSS)와의 연계 속에 첨단기술 기업과 제약회사, 반체제인사 등을 겨냥한 광범위한 해킹을 저질렀으며 피해 규모가 수억 달러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2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 법무부가 중국인 리 샤오위와 둥 자즈를 해킹 등 11개 혐의로 기소한 공소장이 이날 공개됐다.


이들의 해킹 대상은 첨단기술 및 제약,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기업이 대부분이었으며 미국과 중국, 홍콩 등지에서 활동하는 반체제 인사 및 인권활동가도 표적이 됐다. 로이터통신은 무기 설계도 대상이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들의 해킹은 10년 넘게 지속했는데 이들은 특히 최근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검사기술과 관련된 연구를 하는 것으로 알려진 생명공학 기업 등의 네트워크 취약성에 대한 조사를 벌이기도 했다고 공소장은 설명했다.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과 관련한 정보 탈취를 노렸다는 뜻이다.

피해 기업의 이름이 구체적으로 공소장에 적시되지 않았으나 캘리포니아와 메릴랜드, 워싱턴, 텍사스, 버지니아, 매사추세츠주 등의 기업이 포함된다고 WP는 전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