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SK이노, 2분기 영업손실 4,397억...최악은 면해

유가 안정·재고손실 감소 등에

전분기보다는 1.3조 이상 줄여

하반기 정제마진·수익회복 기대




SK이노베이션(096770)은 올 2·4분기에 정제마진 악화 등의 영향으로 4,39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영업 손실 규모는 직전 분기 1조7,752억원의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지만 올 들어 2개 분기 손실이 2조원을 넘어섰다.

SK이노베이션은 29일 올해 2·4분기 매출 7조1,996억원, 영업손실 4,397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원유 가격이 내렸지만 유가까지 동반하락한데다 판매 물량이 감소한 것이 대규모 손실로 이어졌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감소를 고려해 5월 중순부터 한 달 반 가량 정기보수를 단행하면서 매출이 8조원 밑으로 떨어졌다. 이번 매출은 지난 2011년 SK이노베이션 출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44.7% 줄어든 수치이기도 하다. 직전분기 매출과 비교해서도 35.5% 줄었다.


다만 5월 이후 국제 유가 안정과 재고 관련 손실 감소, 중동 원유 공식 판매가격(OSP) 하락 등의 효과가 더해져 직전분기 대비 영업손실 규모는 크게 줄었다.

관련기사



부문별로 살펴보면 석유 사업에서는 4,329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중동산 원유 가격 하락과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 관련 ‘래깅효과’로 마진이 일부 개선돼 적자 폭이 줄었다. 화학 사업은 재고관련 손실이 줄고 연료 가격 하락에 따른 변동비가 줄어들며 682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윤활유 사업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윤활기유 판매량이 크게 줄었지만 원가 하락으로 인한 마진 개선 효과로 직전 분기 대비 증가한 37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석유개발사업은 수요 감소와 복합판매단가 하락으로 직전분기 대비 3분의 1 수준인 118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SK이노베이션의 차세대 성장동력인 전기차 배터리 부문은 흑자 전환에 실패했다. 공장 신설 등 일회성 비용 증가로 직전분기 대비 늘어난 1,138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다만 소재사업에서는 전기차용 분리막 판매 증가로 영업이익이 전 분기보다 167억원 늘어난 437억원을 기록했다.

SK이노베이션은 올 하반기 각국의 경기 부양책 등으로 석유 수요가 증가하며 정제마진 및 수익도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배터리 시장 점유율 공격적 확대로 수익 반등도 꾀한다. SK이노베이션측 관계자는 컨퍼런스콜에서 “증설중인 유럽 헝가리와 미국 조지아주 등의 생산에 따라 2023년에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능력이 71GWh로 확대될 것”이라며 “2025년까지는 100GWh를 목표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명영 SK이노베이션 재무본부장은 “전분기 대비 영업손실은 축소됐지만 정유업계 전반에서 여전히 어려운 환경이 계속되고 있다”며 “SK이노베이션의 딥체인지 방향에 맞게 치열한 체질개선과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위기를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