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인 인재를 많이 말씀하시는데 한 가지 전제는 창의적이라는 것이 ‘내 마음대로 다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전례가 없는 일을 해야 하기에 ‘잘 훈련된’ 것이 꼭 필요합니다.”
19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교육 관련 토론회에 참석한 한 대표는 미래 사회의 변화에 따라 이에 걸맞는 인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식 미래통합당 의원 주최로 열린 이날 토크콘서트에는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오세정 서울대학교 총장, 최재붕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등이 배석했다.
한 대표는 “(네이버에서는) ‘창업가를 기른다’는 표현을 많이 쓴다”며 주도적으로 업무에 임하는 창업가 정신을 강조했다. 그는 “연말, 상반기, 하반기 때마다 각 사업을 이끌고 있는 대표가 와서 ‘나는 이 사업을 얼마나 이끌어왔고 어디까지 가겠다’라고 목표를 이야기한다”며 “그 스토리가 매력적이고 그것이 잘 진행되고 있다고 느껴지면, 다음 번에도 계속 지원하는 것을 결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사람에 대한 믿음을 기반으로 사업을 지원하는 구조라는 설명이다.
한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급변하고 있는 비즈니스 환경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한 대표는 “코로나 상황을 겪으면서 앞으로 어떻게 될지 예측하기 어렵다”며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에 모든 기업들에게 디지털전환이라는 것은 기본적인 방향”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대표는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한 대표는 “기술을 다룰 수 있는 플랫폼 기업에 엔지니어 등은 얼마나 확보되었냐는 측면을 보면, 저희는 매번 개발자 확보가 중요하고 힘들다고 얘기한다”며 “한국 개발자들이 일을 굉장히 잘하기 때문에 저희(네이버)의 경쟁업체들이 와서 한국의 엔지니어들을 굉장히 많이 스카웃해간다”고 토로했다.
한 대표는 “저희(한국)가 개발자를 기르는 흐름이 잘 준비되어 있는가를 보면, 전공에서 나오는 개발자들의 수가 굉장히 한정적이고 적다”며 “구글이나 페이스북, 알리바바 등의 개발자 수와 우리의 개발자 수를 비교하면 ‘우리가 언제까지 견딜 수 있을까’ 고민된다”고 말했다.
이에 한 대표는 “저희가 모바일을 하면서 알게 된 건, 젊은 친구들은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이라며 “태어날 때부터 모바일을 이미 썼고 배우지 않더라도 날 때부터 디지털 속에 살았던 친구들이어서, ‘어떻게 교육시킬 것이냐’ 하는 고민이 있다”고 말했다. 기존처럼 코스나 틀에 맞춰 교육을 시키는 것은 무리라는 판단에서다.
그는 “네이버에 한해서 말씀 드리자면, 전공이 큰 고려요소가 되지 않는다”면서 “전공보다는 본인이 어떤 경험을 했는지, 무엇을 주도적으로 해보았는지 물어보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한 대표는 ‘잘 훈련된 창의성’을 인재의 전제조건으로 꼽았다. “창의적이라는 것은 하고 싶은 일을 마음대로 하는 것과는 확실히 다르다”며 “전지전능한 한 명의 인재보다는 굉장히 많이 생성되는 데이터를 읽고 그 흐름을 보는, 많은 사람들이 가진 트렌드를 읽어내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