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정찰기 띄운 美에 남중국해로 '항공모함 킬러' 쏜 中

美, 군사기지화 관련 中 기업도 제재

USS 로널드 레이건호와 USS 니미츠호가 남중국해를 항해하고 있다. /AP연합뉴스USS 로널드 레이건호와 USS 니미츠호가 남중국해를 항해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 정찰기 U-2가 중국의 비행금지구역에 진입한 데 따른 대응 조치로 중국이 ‘항공모함 킬러’로 불리는 ‘둥펑-26’과 대함 탄도미사일 등 2발을 남중국해를 향해 발사했다. 남중국해에서 양국이 군사적으로 충돌하는 것 아니냐는 긴장감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27일 중국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이 현지시간으로 26일 오전 둥펑-26과 대함 탄도미사일인 DF-21 등 2발의 중거리 미사일을 남중국해를 향해 발사했다. 이들 미사일은 중국 북서부 칭하이와 동부 저장에서 발사돼 하이난과 파라셀 군도 사이에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전날 미국 U-2 정찰기가 중국이 설정한 비행금지구역에 진입하자 중국이 “노골적인 도발행위”라고 강력 비판한 데 따른 후속조치로 보인다.

미국은 중국의 중거리 미사일 발사에 응수해 또 다시 남중국해에 정찰기를 띄웠다. 관영 글로벌 타임스에 따르면 미군은 전날 중국이 실탄 훈련을 진행 중인 남중국해 상공으로 탄도미사일 발사 징후와 궤적을 추적하는 ‘코브라볼(RC-135S)’ 정찰기를 보내 정찰활동을 벌였다. 이틀 연속 중국군의 훈련 지역에 정찰기를 보낸 셈이다.


RC-135S는 일본 오키나와에 있는 미군 가데나 공군 기지에서 이륙해 대만 바시 해협을 지나 남중국해에 진입해 정찰활동을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미군이 이번에 파견한 RC-135S는 탄도 미사일을 감지하는 정찰기로 중국이 미군의 비행금지구역 진입에 대응해 중거리 미사일 2발을 발사한 데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미국은 중국의 남중국해 전초기지 건설에 참여한 중국 기업 24곳과 개인에 대한 제재에도 나섰다. 미국이 남중국해 관련 제재를 한 것은 처음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중국교통건설(CCCC)의 일부 자회사를 포함해 광저우 하이거 커뮤니케이션그룹과 중국전자기술그룹, 중국조선그룹 등 24개 기업을 제재 대상에 올렸다. 상무부는 “중국군이 남중국해에서 국제적으로 규탄받는 인공섬을 건설하고 군사기지화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이번 제재에 따라 이들 기업에 배송된 미국 제품과 미국 콘텐츠와 기술로 해외에서 만든 일부 품목의 판매가 제한받을 것이라며 판매 허가를 신청할 수 있지만 승인까지 높은 장애물을 극복해야 한다고 전했다.

국무부는 이와 별도로 남중국해 지역의 매립이나 군사 지역화, 인근 지역 자원 접근 억제에 관여한 중국 개인에 대한 비자 제한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이들의 미국 입국이 허용되지 않을 것이며 직계 가족도 비자 제한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