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육부 "돌봄 우선순위 둔다...맞벌이·저소득·한부모·의료진 자녀 먼저"

돌봄 교실 실당 10명 내외 분산 배치

돌봄 참여 학생 도시락 등 급식 제공

유은혜 사회 부총리가 27일 서울오정초등학교를 방문해 학생과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제공=교육부유은혜 사회 부총리가 27일 서울오정초등학교를 방문해 학생과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제공=교육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수도권 학교의 원격 수업 실시로 돌봄 수요가 급증하자 교육부가 맞벌이·저소득·한부모 가정 자녀와 의료진 자녀에게 돌봄을 우선 제공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27일 ‘2학기 초등돌봄 운영 방안’을 발표하면서 수도권 유치원 및 초·중·고교(고3 제외)가 다음 달 11일까지 원격 수업을 전면 실시함에 따라 돌봄 우선순위를 정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맞벌이·저소득·한부모 가정과 코로나19 대응 의료진 자녀 등을 우선 돌봄 대상으로 할 것”이라며 “수용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저학년 맞벌이 가정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학교별 인력·공간 수용 여력을 최대화해 방과후 학교 강사, 퇴직 교원 등 교육청별 자체 인력풀을 돌봄 지원 인력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안전한 돌봄 교실 운영을 위해 돌봄 교실 내 밀집도는 실당 10명 내외로 분산 배치한다.

체온계, 마스크 등 방역 물품도 돌봄 교실에 우선 비축한다.

교육부는 돌봄 참여 학생들에게 도시락 등 학교 급식(중식)을 지속해서 제공하기로 했다.

아울러 2학기 초등 돌봄 교실 예산이 차질없이 확보될 수 있도록 집행 상황을 지속해서 점검하고 이·불용액이 예상되는 사업 예산을 돌봄 운영에 사용하도록 시도교육청과 함께 대응해나가기로 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